서양화

[스크랩] 화가 이중섭의 길 떠나는 가족 -17-

회기로 2009. 7. 19. 23:19

 

 

   화가 이중섭의 작품 세계

     이중섭(李仲燮 1916∼1956 )서양화가

호는 대향(大鄕). 평안남도 평원(平原) 출생.

1937년 도쿄분카학원[東京文化學院] 미술과에 입학하여 재학중 독립전과 자유전에 출품하여 신인으로 주목받았다.

 
40년·43년 미술창작가협회전에서 수상하였으며,

45년 귀국하여 원산(元山)에서 일본여성 이남덕(李南德;야마모토, 山本方子)과 결혼하였다.

46년 원산사범학교에서 미술교사를 지냈다.
6·25 때 원산을 탈출, 부산에 도착하여 가족들과 헤어져 부산·통영(統營) 등지로 떠돌아 다녔다.
53년 가족들과 만나기 위하여 일본에 밀항하였으나 얼마 후 귀국하였다.
56년 정신이상과 영양실조로 서울 적십자병원에서 죽었다. 그는 주로 소·닭·새·어린이·가족 등을 그렸다.

힘차고 대담한 터치와 탄력적이고 단순화된 형태, 원색의 선명함으로 사람 내면을 표현한 그의 작품세계는

향토성이 강하며 동화적인 동시에 가족에 대한 정감이 잘 나타나 있다.
또한 서구 근대화풍을 도입하는 데 공헌하였다. 숱한 에피소드와 강렬한 개성이 풍겼던 그의 예술성은

70년대 이후 평전과 연극·영화로 기려지고 있다. 대표작품으로 《싸우는 소》 《흰소》 《움직이는 흰소》

《소와 어린이》 《황소》 《투계》 《닭과 가족) 《사내와 아이들》 《길떠나는 가족》 등이 있다. 

                            이중섭의 작품들

    길 떠나는 가족
 (종이에 유채,  18.2*28)  1942~5년  추정


    길 떠나는 가족이 그려진 편지(종이에 유채,  10.5*25.7) 1954년


    나무위에 노란새(종이에 유채와 크레용,  14.7*15.5) 1956년 


    누워 있는 여자
(종이에 수채와 잉크,  9*14)  1941. 6. 3 



    달과 까마귀(종이에 유채,  29*41.5) 1954년 
     <대한미술협회전 출품작>


    
두 마리의 사슴
(종이에 먹지로 베껴 그리고 수채,  9*14) 1941.4.24


    두 사람(종이에 수채와 잉크,  14*9) 1943년


     떠 받으려는 소(종이에 유채, 34.5*53.5) 1953년 무렵 추정


    말과 소를 부리는 사람들 (종이에 먹지로 베껴 그리고 수채,9*14)
     1941.3.30

    바닷가 (종이에 먹지로 베껴 그리고 수채,   9*14) 1941년



    바닷가의 아이들(종이에 유채와 수채, 연필, 32.5*49.8) 1951년 추정 

 


     판잣집 화실
(종이에 수채와 잉크,  26.8*20.2) 1953년



    활을 쏘는 남자
(종이에 수채와 잉크,  14*9)1941.6.2
 


    발을 손가락으로 가르키는 여자
(종이에 수채와 잉크, 14*9)
     1941년 중반 무렵으로 추정 



    신문 보는 사람들 (은박지 그림,   9.8*15) 1954년
    



    사랑
( 은박지 그림,  15*10) 1955년


   세 사람(종이에 연필,  18.2*28)  1942~5년 추정


  <야마모토 마사꼬와 이남덕으로 살아온 인생>



야마모토 마사꼬(山本方子, 77)라는 칠순의 곱디고운 이 일본 여인은

한때 이남덕(李南德)이라는 이름의 한국 여인으로 살았던 적이 있다.

화가 이중섭의 아내로 한국에서 살던 몇 년간이었다. 이중섭의 아내가 되면서 마사꼬 여사는 한국이름으로 개명하였다.

당시 한국인들이 일본이름으로 창씨개명한 때임에도 마사꼬 여사는 역 창씨개명을 한 것이다.
지금 도쿄에서 살고 있는 마사꼬 여사에게서는 청년화가 이중섭을 만났을 때의 고왔던 옛 자태를 아직도 짐작하기에 충분했다.

1940년경 도쿄 문화학원 재학 시절 이중섭을 처음 만나 1953년 만남이 끝이었던 평탄치 않은 결혼 생활이었다.

게다가, 두 아들을 키우며 사는 동안 먹고 사는 일을 걱정할 만큼 어려운 나날이 많았다.

그래도 마사꼬 여사는 이중섭과의 만남을 단 한 번 후회없이 살아온 이중섭의 영원한 연인이며 아내로 지금도 살고 있다. 

 <가족들의 증언 ----- "그는 따뜻한 사람이었다">


"언젠가 남편에 대한 영화가 한국에서 만들어진 적이 있었어요. 그때 한국의 조카딸(이중섭의 조카 이영진 누나의 딸들)들이 보고 와 몹시 울었다더군요. `우리 삼촌은 그런분이 아니었는데...외숙모는 차라리 안보는 게 낫다'고 하면서요. 한국에서는 제 남편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는 드라마틱하게 하려고 그러는지 아주 특이한 사람으로 만들어요. 물론 남편에게는 보통사람들과 다른 부분도 있었고 예술가적인 기질이 있었던 사실이죠. 그러나 지금껏 이중섭을 인정해 주는 것은 그에게 인간적인 따뜻한 면이 있었기 때문이죠."  

마치 어린애 같아 아이들에 대한 사랑도 별로 몰랐던 것이 남편 이중섭이었다. 그러나 멀리 떨어져 있으며 자식에 대한 정이 깊어져 갔다. 편지와 엽서 그림 속에는 아이들의 그림이 많았고 그 그림 안에는 따뜻한 아버지의 사랑이 배어 나왔다.

도쿄 세타가야에는 타이세 라는 한 표구점이 있다. 타이세는 태성(泰成)이라는 한국이름을 일본식으로 풀어쓴 것이다. 그의 일본에서의 풀네임은 어머니의 성을 딴 야마모토 야스나리. 한국의 천재화가 이중섭의 둘째 아들 태성씨가 운영하는 표구점이다.

1946년 한국에서 태어나 4살 되던 해 어머니 마사꼬, 형 태현(일본명 야스가타)과 함께 일본으로 건너왔다. 그러나 그가 한국에 관한 기억을 갖고 있기에는 너무나 어린 나이였던가 보다. 그가 조국을 떠나 올 때의 기억은 다만 부산에서 일본으로 올 때 타고 온 배의 밑바닥이 기억에 남아 있을 뿐이라고 한다. 심지어 아버지에 대한 한 토막 기억도 남아 있지 않은 그이다.

그러나 태성씨는 아버지를 잘 알고 있다. 또한 아버지의 사랑을 듬뿍 받고 성장했다.

"어려서 늘 아버지가 어머니에게 보낸 러브레터나 그림엽서를 보는 게 낙이었죠.

이노카시라에 살 때는 일주일에 한 번 정도는 보내 왔어요.

아버지의 편지나 엽서를 보면 나도 몰래 즐거워지고 아버지가 늘 우리를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어려서 태성씨는 그림공부를 한 적도 있었다고 한다.

"유명한 화가의 아들이니 소질이 있지 않나 해서 어머니 친구가 운영하는 그림교실에 1년간 다닌적이  있지만

소질이 없어서 그만 두었지요."

앞으로 태현씨의 소망은 예술의 거리 도쿄 긴자(錦座)에서 아버지 작품전시회를 여는 것이다.

비교적 호수가 큰 작품들은 이미 공개되었고, 가족의 손을 떠나 버렸다. 그러나 은박지 그림 몇 점,

수채화 그림엽서 등 20-30여점의 소품이 있어 자그마한 전시회를 열만한데 이를 통해 일본에 아버지의 작품을 알리고 싶다는 것이다.

태성씨는 아버지에 대해 적극적으로 이야기하고 아버지 이야기가 나오는 것을 꺼리지 않는 편이다.

반면 형인 태현씨는 일절 아버지 이야기를 언급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형의 친구들을 비롯해 주변사람들은

태현씨가 없는 자리에서는 태현씨를 가리켜 이름 대신 '황소 어디 갔니'라고 하면서 '황소'라는 별명으로 부르곤 한다는 것이다.  

그만큼 주위 사람들은 아버지 이중섭에 대해 잘 알고 있으며 태현씨가 황소의 이미지를 많이 닮았기 때문이다.

태성씨도 한때는 아버지가 한국인임을 숨기고 산 적이 있었다고 한다.

어렸을 때 친구들끼리 장난를 치다가 "조센징"이란 욕이 나올 때는 마치 자신을 가리키는 것같아 상처가 되었던 기억이 있었다.

태현씨는 슬하에 딸(23세) 아들(21세)을 두고, 태성씨는 고3인 아들 하나를 두고 있다고 한다.

- <월간 아리랑>편집인 김종영

"스무살 넘어서야 아버지가 위대한 줄 알았다"… '그림 속의 그 아들' 52년만에 訪韓

이중섭 父子 '성묘 상봉'
처음보는 아버지 油畵
日서 '영화 이중섭' 제작


▲ 삼성미술관 리움에 걸린 이중섭의 유화‘해변의 가족’(1950) 옆에 선 태성씨. “아버지의 유화를 원화로는 처음 본다”는 그는“실제로 보니 그림이 아름답고 박력있다”고 말했다. 김창종기자 (블로그)cjkim.chosun.com
화가 이중섭이 죽음같은 고독을 견디며 그려냈던 단란한 가족 그림 속 아들 태성(泰成·야스나리·55)씨가 52년 만에 처음 아버지의 나라 한국에 왔다.

3일 아침 그는 서울 망우리 공원묘지에 있는 아버지 묘소를 찾아 성묘했다. 야마모토 태성. 어머니 마사코(한국명 남덕·83)의 성을 따른 그는 아버지 나라에 대한 기억이 전혀 없었다. 한국 전쟁이 일어나자 제주도 서귀포로 피란갔던 이중섭은 가난을 이기지 못하고 일본인 아내와 아들 둘을 일본의 처가로 보냈다. “그때 배 타고 흔들리던 기억밖에 없다”는 아들은 가족을 그리워하다 세상을 떠난 아버지를 침묵 속에 만났다.

대향 이중섭(李仲燮·1916~ 1956)은 그 누구보다 가족을 향한 절절한 사랑을 화폭에 고스란히 담아낸 화가로 유명하다. 복숭아 나무에 오르는 아이들, 게와 얽힌 아이들, 그가 그린 아이들은 바로 그리운 두 아들이었다. 가족과 생이별한 이중섭은 “잠들기 전에는 반드시 그대들을 생각하고… 태현, 태성, 남덕, 대향, 네 가족의 생활…융화된 기쁨의 장면을 그린다오”라고 편지를 띄우기도 했다. 가족과 헤어진 지 4년 만에 이중섭은 적십자 병원에서 쓸쓸히 눈을 감았다.

“흥분되고 긴장해서 전날 잠을 제대로 못 잤습니다. 도쿄에도 따로 아버지의 유골 절반을 모시고 있습니다만, 이렇게 성묘를 하고보니 정말 기쁩니다.” 이날 태성씨는 한남동 리움미술관을 찾아 아버지의 유화를 처음 직접 봤다. 태성씨가 제일 먼저 다가간 것은 50년 전 자신의 가족을 꼭 닮은 작품 ‘해변의 가족’(1950)이었다. “50년 전, 무슨 사정이 있어서 아버지의 유화를 일본으로 한 점도 가져오지 못했나 봅니다. 대신 200여장에 달하는 그림 엽서와 은지화가 있었습니다. 편지도 많았고요.”

“아버지가 위대한 화가라는 것은 스무 살 넘어서야 알았습니다. 어려서는 한국 출신이라는 것 때문에 차별과 설움도 겪었지요.” 이중섭 그림에 나오는 가족 중 화가만 빼고 모두 생존해 있다. 형 태현(57)씨는 인테리어 사업가이며 태성씨는 액자 제작을 하고 있다. “어머니는 평소 아버지에 대해 별 말씀은 없지만, 이제 적극 나서서 아버지의 일생을 제대로 알리려고 합니다.”

태성씨의 첫 한국행은 사실 일본 속 ‘한류’의 영향도 있다. 지난 5월 일본 TV를 통해 이중섭이 일본에 처음, 본격적으로 알려졌으며 이를 본 한 영화사가 이중섭 가족 이야기를 영화로 만들자고 제안했다.


▲ “아빠가 엄마, 태성이, 태현이를 소 달구지에 태우고…따뜻한 남쪽 나라로 가는 그림을 그렸단다….”함께 길 떠나는가족이 등장하는 이중섭의 편지 그림. 소 달구지에 타고 있는 두 아이 중 한 명이 이번에 한국에 온 둘째 태성씨다.


         조선일보     정재연 기자     

22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이중섭 작품 앞에 선 둘째 아들 이태성씨는 "유족이 어려운 생활을 하면서도 지켜온 작품을 가짜라 하면 더 할 말이 없다”고 했다. 신인섭 기자

"한국에 잘못 알려져 있는 선친 인생의 진실을 밝히려 합니다."

화가 이중섭(1916~56)의 둘째 아들 태성(56.일본이름 야마모토 야스나리)씨는 그동안 일부에서 정신병자나 마약중독자인 양 왜곡했던 아버지의 '진짜 삶'을 찾는 일을 자신의 임무로 꼽았다.

22일 낮 서울 롯데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연 태성씨는 우선 망우리 공동묘지에 있는 부친의 묘소를 옮기고, 그의 일대기를 제대로 묘사할 한.일 합작영화를 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06년 이중섭 타계 50주기를 기리는 기념행사의 시작이다. 고인의 부인이었던 일본인 야마모토 마사코(84.한국이름 이남덕)는 건강이 좋지 않아 오지 못했다.

태성씨는"앞으로 이중섭 기념관 설립과 작품 저작권 관리, 감정서 발행 등 모든 일을 해갈 '이중섭예술진흥회'를 21일 여의도에 열었다"고 밝혔다.

그는 16일 서울옥션에서 이중섭 작품의 국내 경매가 신기록(3억1000만원)을 세운 '아이들'등 경매작 4점과 관련해 제기된 가짜(위작)설에 대해 "불쾌하다"는 한마디로 내쳤다.

"50여 년 넘게 유족이 보관해 온 작품을 의심한다면 더 말 할 필요가 없다"며 "자기 아버지 작품에 침을 뱉는 아들이 어디 있겠느냐"고 되물었다. 하지만 진품이라는 증거를 제시하지는 못했다.

정재숙 기자 <johanal@joongang.co.kr>
사진=신인섭 기자 <shinis@joongang.co.kr>

 

 

 

 

<출처;blog.joins.com/a3421영맨 >

 

 

 

 

출처 : ..
글쓴이 : 너와집나그네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