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서울 송파구 삼전도 옛터에는 병자호란의 아픔을 전해주는 삼전도 비(碑)와 ‘삼전도(三田渡)의 수난(受難)’이라는 부조물이 남아 있다. 부조물은 1982년 건립 당시 서울시립대 김창희 교수의 작품이다.
삼전도 부조물 하단 동판에는 글이 새겨져 있으며 인조가 청나라 태종에게 무릎을 꿇고 머리를 조아린 치욕의 역사가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뼈아픈 교훈에 대해 담담한 필치로 적고 있다.
가슴에 와 닿을 듯한 이 글을 그러나 이제는 정작 읽는 이가 드물다. 그래서인지 동판 부분은 흉하게 칠이 벗겨져 판독조차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삼전도 비의 글쓴이를 표시한 부분이 심하게 훼손되어 있다. 바로 백헌(白軒) 이경석의 휘자(諱字)가 적혀 있던 곳이다.
백헌 이경석(李景奭).
살아서는 국가와 민족을 위해 봉사하고 충성을 다했으며 청백한 삶을 살아 후손들까지 그의 삶을 닮게 했던 분이다. 그의 호인 백헌(白軒)에 가장 걸맞는 삶을 살았다.
그런데 그의 이름은 끌로 뭉개지고 왕조실록에는 정면으로 그의 잘못에 대해 공박한 내용이 전해 온다. 삼전도 비문을 지은 당사자며, 국익을 위해 자청해서 죄를 쓰고 청나라에까지 잡혀가 고초를 겪었던, 속 깊은 백헌 상공에게 개인적으로도 또 한 번 수모를 안기고 있는 것이다.
가난한 종택, 30년 경찰공무원으로 지켜
이완주(李完周, 1944년 9월 15일생)씨는 영의정을 지낸 백헌의 12대 종손이다.
그는 우리가 즐겨 보았던 드라마 수사반장의 탤런트 최불암씨를 생각나게 한다. 30년 경력의 퇴직 경찰공무원인 그는 거의 20년을 수사 파트에만 근무했다. 그럼에도 그에게는 도무지 형사 티가 나지 않는다.
종손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석운동(石雲洞) 종택에서 태어났다. 종택으로 양자를 온 부친은 한학을 익힌 분으로 문중사에 열성적이었고 가난한 살림에도 자식 교육에는 힘을 쏟았다. 그래서 맏아들이 초등학교 5학년 때 서울 동작구 흑석동에 살고 있던 사촌집으로 유학시켰다.
선친은 백헌 종택으로 양자를 왔으나 물려받은 것이라고는 선영을 빼고는 정작 경작을 할 농지조차 제대로 없었다.
은로초등, 영등포중학교를 마치고 가난 때문에 서울공고로 진학한 선친은 대학 진학을 포기하고 졸업 후 바로 군대에 갔다. 제대 후에는 종중에서 운영하던 버스 회사에 취직했지만 경영난으로 중도 퇴직해야 했다.
결혼까지 했던 종손은 선친의 그런 실직 아픔 때문에 든든한 직장의 필요성을 느끼고 경찰직에 입문했다. 그러나 당시 경찰의 부정적인 이미지가 마음 한구석에 있어 ‘한 삼 년만 해보자’고 시작한 일이 30년을 지속한 평생 직업이 되고 말았다 한다.
첫 인상은 ‘이런 사람이 어떻게 형사를 했을까’였다. 거칠고 고단했을 수사 분야를 어떻게 견뎌냈을까 호기심이 발동해 종손에게 말문을 열었다.
“우리가 아는 큰 사건도 수사하셨습니까?”
“서초경찰서에 근무할 땐 지존파 현장 검시에도 투입되었고, 연예인 매니저 살해사건도 맡았고....., 저는 제 방식이 있었어요. 동료보다 두세 배 시간을 할애해 철저하게 조사했습니다. 그리고 확증이 있을 때 피의자를 동행해 증거를 대면 전과가 많은 범죄자라 해도 30분을 못 버팁니다. ”
그 이야기를 들으며 처음 악수했을 때 느꼈던 단단하고 거칠던 손이 떠올랐다. 그래도 마음만은 비단결 같아 이웃 아저씨란 생각이 든다. 2001년 정년 퇴직한 뒤 ‘노동도 건강을 보살피는 운동이다’라는 생각으로 종택 주변의 2천여 평을 소일삼아 농사짓고 있다고 한다
사는 이야기로 화제를 돌렸더니
이내 활기를 띤다.
아들이 한림대 사학과를 나와 육군 대위로 군복무 중이며 딸도 동덕여대 국사학과를 나와 결혼했다고 한다. 그런데 모두 역사관련 학과를 나왔다는 것에 나름의 의미를 부여한다. 이는 자신이 자녀와 함께 종가를 반듯하게 건사하고 만들어나가겠다는 의지가 담겨있기도 하다.
“사실 이제까지 어른들에게 문중의 역사나, 백헌 상공에 대해 들은 이야기가 많지는 않습니다. 그나마 들은 것도 영의정을 했다는 등 벼슬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삼전도 비문을 지은 것에 대해서는 말씀들을 하지 않는 분위기였습니다. 아마 반성문을 쓴 것쯤으로 부끄럽게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저는 이제 좀 다른 시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국가와 민족을 위해 평생을 사셨던 속 깊은 분이 정말 세속적인 이해를 도모했다면 그 일을 담당했겠어요? 세상에서 우리 선조를 욕하는 이들은 만약 선조께서 그 일을 핑계를 대고 회피했다고 한다면 또 그것을 가지고 비난했을 겁니다. 세상에는 일꾼이 있고 생색내는 사람도 있게 마련이지 않습니까?”
더 이상의 말이 필요없는 상황이다. 비록 종손이 세파에 부대끼며 사느라 많은 책은 읽지 못했지만 사안에 있어 깊이 있는 사고를 한 그 폭과 깊이를 감지할 수 있었다.
“저는 이제부터 누구에게도 벼슬보다는 업적에 대해 이야기하려 합니다. 백헌 상공은 정말 훌륭한 분이셨습니다. 일가일처일노(一家一妻一奴)로 사셨던 분이고요.”
이 말은 종손이 백헌 상공의 분분한 평가 뒤에 내린 결론이었다. 분수를 지켜 집 한 채, 아내 한 사람, 시종 한 사람으로 깨끗하게 사셨던 조상의 삶의 길을 다시 가려고 애쓰는 종손은 시공을 초월해 닮아가는 것 같다.
백헌은 분수 지키면 사셨던 분
황사도 걷힌 봄날 백헌 상공의 묘소를 찾았다. 잘 다듬어진 묘역에 여기저기 핀 봄꽃들이 절기를 알아 피었고 나물 뜯는 아주머니들도 꽃 사이로 띄엄띄엄 보였다.
“재산세가 350만원이 나왔습디다. 그래서 하는 수 없이 두 달 치 연금을 털어 냈지요 뭐.”
30년 경찰공무원의 보상으로 나오는 연금 두 달 치가 들어갔다는 막대한(?) 종손의 재산은 골기와집 한 채와 그 집을 한 폭의 동양화처럼 감싼 텃밭 2천 평이 전부다. 영남에서 보는 수백 마지기의 논밭 전지의 규모와는 비교도 되지 못한다.
그렇지만 이곳은 서울과 가깝고 또 근자에 판교 개발과 더불어 지가가 급격히 상승해 영남의 한 평에 몇 만 원 하는 땅이 아니다.
하지만 땅값이 아무리 비싸도 선영과 종택 그리고 백헌 상공의 얼을 계승하겠다는 의지가 누구보다 강한 종손에게는 부운(浮雲)과도 같은 물질일 뿐이다. 종손은 백헌상공이 낳은 청백한 정신을 지키며 손이 거칠어지도록 일구고 있는 것이다.
밭에서 나와 봄나물을 다듬고 있는 92세의 노(老)종부는 백헌 상공이 영의정을 한 것에 무한한 자긍심을 가진 듯 “벼슬을 많이 한 어른이세요. 구경 잘 하세요”를 연발한다.
많은 재산세를 감당하면서 정작 종택에 모셔야할 사당도 중건하지 못했고, 기와와 목재는 낡아 그야말로 비바람을 가리기에도 힘겨울 지경이다.
퇴직후 조그마한 서울에 있는 단독집에서 여전히 살고 있는 종손에게 의지는 있어도 자력으로 종택을 중수할 경제적 여력은 없어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