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

[스크랩] [숨쉬는 조선왕릉]<5>儒-佛-道사상의 결정체

회기로 2009. 7. 19. 18:44

[숨쉬는 조선왕릉]<5>--사상의 결정체

var tid; ns4 = (document.layers)? true:false ie4 = (document.all)? true:false if( ie4 ) { if( navigator.userAgent.indexOf('MSIE 5') > 0 ) ie5 = true; else ie5 = false; } else ie5 = false; var width = 200; var height = 80; var x = 0; var y = 0; var snow = 0; var doc_width=800, doc_height=600 if( (ns4) || (ie4) ) { if( ns4 ) over = document.overDiv if( ie4 ) over = document.all["overDiv"].style //document.[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move = mouseMove; //if( ns4 ) document.captureEvents(Event.MOUSEMOVE) } function nd() { if( (ns4) || (ie4) ) { snow = 0; hideObject(over); } } function waitnd() { tid = setTimeout('nd()',3000); } function drc() { if( snow == 1 ) nd(); var linkpath = "http://ar.donga.com/RealMedia/ads/click_lx.ads/2007.donga.com/fixed/100801031/x53/youfirst_textover_click_080520/click.gif/13548452151532541"; var imgpath = "http://adimg.donga.com/madv/img/youfirst/textover_20080.gif"; txt = "
" layerWrite(txt); if( ns4 ) { doc_width=self.innerWidth; doc_height=self.innerHeight; } else { if( ie4 ) { doc_width=document.body.clientWidth; doc_height=document.body.clientHeight; } } disp(); } function drc_intel() { if( snow == 1 ) nd(); var linkpath = "http://ar.donga.com/RealMedia/ads/click_lx.ads/www.donga.com/fix/1492754823/x93/click_textover_060203/click.gif/64323733383038363433656664373530"; var imgpath = "/news/takeover/intel_20080.gif"; txt = "
" layerWrite(txt); if( ns4 ) { doc_width=self.innerWidth; doc_height=self.innerHeight; } else { if( ie4 ) { doc_width=document.body.clientWidth; doc_height=document.body.clientHeight; } } disp(); } function disp() { if( (ns4) || (ie4) ) { if( snow == 0 ) { x = event.x - ( width / 2 ); if( x < 0 ) x = event.x; if (x > 90) x = event.x - 180; if( x < 0 ) x = event.x; over.left = x + document.body.scrollLeft; y = event.y + height; if( y < doc_height ) over.top = event.y + 10 + document.body.scrollTop; else over.top = event.y - (height + 10) + document.body.scrollTop; showObject(over); snow = 1; } } } function layerWrite(txt) { if(ns4) { var lyr = document.overDiv.document lyr.write(txt) lyr.close() } else if( ie4 ) document.all["overDiv"].innerHTML = txt } function showObject(obj) { if( ns4 ) obj.visibility = "show" else if( ie4 ) obj.visibility = "visible" } function hideObject(obj) { if( ns4 ) obj.visibility = "hide" else if( ie4 ) obj.visibility = "hidden" }




 
부속 사찰 세워 극락왕생 기원
 
봉분 주변 조각에도 불교 사상

경기 화성시 용주사는 특이하다.

사찰 입구인 일주문을 들어서면 붉은색 칠을 한
홍살문이 보인다. 일제강점기에 훼손됐다가 올해 6월 약 100년 만에 복원됐다. 그런데 홍살문은 조선 왕릉 입구를 나타내는 문이다. 궁궐, 관아에서도 볼 수 있지만 사찰 홍살문은 용주사가 유일하다.

홍살문을 지나면 삼문()이다. 중앙의 대문 좌우에 문이 하나씩 더 있다. 전형적인 궁궐 건축 양식. 삼문 앞에는 화마를 물리친다는 해태 한 쌍이 있는데 해태 역시 궁궐에서나 볼 수 있는 조각. 대웅보전 앞마당으로 올라가는 계단 소맷돌(난간) 형태와 소맷돌에 새긴 구름은 조선 왕릉의 제향공간 정자각() 계단을 꼭 닮았다.

비밀은 용주사에서 800여 m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사도세자의 능인 융릉에 있다. 용주사는 융릉에 딸린 사찰이다.

○ ‘숭유억불’ 정책과 다르게 내세관은 불교적

조선 왕릉마다 능에 묻힌 왕의 극락영생을 비는 사찰을 둔 것이다. 왕릉 사찰은 조포사()라고도 불렸다. 선대왕에게 제사 지낼 때 올릴 두부를 만드는 절이라는 뜻이다. 500년 내내 숭유억불의 조선 시대에 선대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사찰을 세웠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내세관은 불교적이었던 것이다. 서울 강남 복판의 봉은사도 성종 능 선릉(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딸린 사찰이다. 세종 능 영릉(경기 여주시)의 신륵사, 세조 능 광릉(경기 남양주시)의 봉선사도 왕릉 사찰이다.

조선 왕릉의 봉분 주변 조각에도 불교 사상이 녹아 있다.

봉분 앞 장명등은 사실 사찰의 석등과 다를 바 없다. 조선 시대 내내 사찰 창건을 억제해 석등 건조는 드물었다지만 석등은 장명등 형태로 이어졌던 것이다. 세종실록에 태종 능 헌릉(서울 서초구 내곡동)의 장명등에 불 켜는 일을 논의한 기록이 있어 조선 초기에는 실제로 기름등잔을 놓아 왕릉을 밝혔을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태조 능 건원릉(경기 구리시), 헌릉 등 봉분을 둘러싼 병풍석에는 낯선 형상이 새겨져 있다. 불교에서 부처를 경각시키거나 기쁘게 할 때 쓰이는 방울인 금강령(영탁), 번뇌를 깨뜨리고 불도를 닦을 때 쓰는 도구인 금강저(영저)다. 융릉 봉분은 불교의 상징인 연꽃 봉우리 조각으로 둘러싸였다. 왕의 영혼이 잠든 곳을 불심()이 지키고 있는 셈이다.

○ 태극문양-산신석 등 도교와 전통신앙도 어우러져

그런데 영탁과 영저 중간에는 음양()의 이기()가 생성된 근원인 태극무늬가 새겨져 있다. 정자각 계단 소맷돌 아래에도 태극무늬가 있다. 불교뿐 아니라 음양의 조화를 중시한 도교 사상이 함께 녹아 든 것이다. 정자각에서 봉분을 바라봤을 때 정자각 오른편에 있는 돌도 눈여겨봐야 한다. 평균 가로 1.4m, 세로 0.9m의 돌 산신석이다. 왕릉 조성 이전 산을 지키던 산신에게 왕릉으로 산을 해친 미안한 마음을 제사지낸 곳. 산신 사상이라는 우리 고유의 민간 신앙까지 조선 왕릉에 어우려져 있다. 조선 왕릉은 선조를 기리는 유교의 효 사상과 불교, 도교, 민간 신앙 등 수천 년 전통 사상과 철학이 한데 집적된
결정체인 것이다.

윤완준 기자 zeitung@donga.com
출처 : 수일재
글쓴이 : 수일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