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가 열전](11) 조선중기-선조 | ||||
2003년도 겨울, 어느 서예전문잡지에 난 ‘조선왕조어필’ 전시 평을 우선보자. 필자는 보통사람도 아닌 잘나가는 서예가이자 이 잡지의 편집주간이기까지 한데 ‘어필은 글씨자체로 보자면 초등학교 수준이고 예술이라기보다는 필기용 글씨수준인데 우리나라 최고의 전시관인 예술의전당에서 한 달 이상씩 전시하여 무엇을 하자는 것인가’하고 혹평을 하고 있다. 그런데 정작 놀란 것은 어필 평이 아니라 왕조국가인 조선에서의 ‘왕’에 대한 평자의 이해수준이었다. ‘차라리 인품이라도 고매하고 학문이 높은 분의 삶과 학문, 그리고 서예작품을 조명하는 전시를 한다면 우러르는 마음으로 보고 흠모나 하지 임금들의 아무 볼 것도 없는 글씨를 전시하여 도대체 무엇을 보잔 말인가’하고 열변을 토하고 있다. # 글씨의 기준(基準)이자 법(法)으로서 어필(御筆)
# 천자문으로 조선판 한자글꼴의 기준을 세운 선조 국왕의 글씨, 또는 글씨에 대한 국왕의 관심사는 두 가지 성격으로 나타난다. 하나는 문자의 정책적 측면이고 또 다른 하나는 만기여가(萬機餘暇)를 즐기는 예술이다. 전자의 대표적 사례로 세종의 한글창제나 선조의 ‘천자문(千字文)’간행을 들 수 있고, 후자는 ‘열성어필’에 남겨진 각종 시문이나 글씨들이 있다. 그런데 여기서 ‘천자문’의 문자 정책적 측면의 가치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천자문’ 하면 석봉 한호를 먼저 떠올릴 만큼 소위 ‘한석봉천자문’은 모든 학동들의 필수교재였는데, 전 조선을 통 털어 최고 베스트셀러이자 스테디셀러였다. 그래서 이 책은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에 맞먹는 떡장수 어머니의 교육상징물이 되어있지만 그 진정한 가치는 딴 곳에 있다. 요컨대 ‘한석봉천자문’은 글씨와 책판에서 조선의 표준을 제시하였다는 사실이다. 요즈음 말로하면 이 책을 통해 비로소 조선판 한자(漢字)·한글의 타이포그라피 정체성이 확립되었고, 한자는 물론 한글교육까지 동시에 수행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조선 최고의 명필 한석봉에 대해 삼척동자도 알지만 정작 이 사람을 있게 한 인물이 선조인지를 아는 사람은 드물다. 사실 석봉 한호의 절대적 후원자인 선조의 어명에 의해 1583년(선조16년)에 만들어진 ‘천자문’(그림1)은 그 것 하나만으로도 당시 조선의 문자정책 본질이 어디에 있는지를 알뿐 만 아니라 여기에는 ‘조맹부천자문’을 넘어섰다는 조선글씨의 자부심까지 읽어낼 수 있다.
비유컨대 애초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가 한자를 버리고 한글전용을 위해 만든 것이 아니라는 사실과도 궤를 같이하는 것이다. 작금의 인문학 위기의 목소리가 하늘을 찌르고, 그 주된 원인을 대학 상업화에서 찾고 있지만 필자는 생각을 달리한다. 인문학위기 이전에 ‘우리’ 인문학은 고사상태이고 그 원인은 본질적으로 우리가 우리 조상들이 근 이천년을 넘게 쓰 온 한자로 된 우리 인문학의 저작을 직독 직해하지 못하게끔 교육되어온 데에 있다고 본다. 그리고 그 위기의 더 큰 원인은 국가차원의 문자정책의 부재에 있는데, 이것은 한글전용문제와도 전혀 성격이 다른 것이다. 요컨대 ‘한석봉천자문’은 선조의 문자정책의 결정체로 ‘漢字’가 ‘韓字’임을 천명한 것에 다름 아닌 것이다. # 지존의 국량(局量)이 녹아난 호쾌한 일필(一筆) 그러면 이러한 선조의 글씨는 정작 어떠하였을까. 누차 살펴보았지만 유학을 국시로 하는 조선에서는 시와 글씨를 완물상지(玩物喪志)라 하여 도학공부의 방해요인으로 규정하여 선비는 물론 국왕도 지나침을 경계하였다. 그러나 국왕이라고 흥(興)이 없을 수 없다. 지방관 면담, 결재, 강학과 토론으로 매일 눈 코 뜰 새 없이 바쁜 가운데 즐기는 글씨는 그야말로 만기여가의 산물인 것이다. 27대 519년에 걸친 조선의 역대 국왕글씨가 모두 희귀하지만 상대적으로 선조의 어필이 그래도 많이 남아있는 편이다. 그 중에서 속리산 법주사에 소장된 ‘오언절구’ 네 수로 된 병풍 글씨(그림2)가 단연 으뜸이다. 일견 더 이상 설명이 필요 없지만 호쾌하게 일필(一筆)로 내두른 회심의 역작에서 무한한 지존의 국량(局量)이 그대로 담겨있다. 이러한 선조였지만 가족의 병환을 걱정하는 정숙옹주에게 하루에 두 번이 멀다하고 보낸 위로 편지(그림3)에서 ‘해가 돌아서면 내 친히 보고서 자세히 기별하마… 걱정하지마라 자연히 아니 좋아 지겠는가’라고 할 정도로 지극히 다정다감했다. 또 임진왜란 당시 함경도 관찰사 송언신에게 보낸 선조의 밀찰을 본 정조가 ‘천지의 대덕(大德)이다. 송언신이 아프다 호소하지 않았지만 불로단(不老丹)과 비천고(比天膏)를 옛 처방에서 찾아내어 다른 사람에게 부작용을 시험한 뒤 처방을 내려 병을 미연에 방지하게 하셨다’라고 감흥하는 지점에서 비록 전란을 만나 온 조선이 쑥대밭이 되었지만 문화적으로나 사상적으로 그 깊이나 맛은 ‘조선중의 조선’을 구가한 때이고 보면 ‘목릉성세(穆陵盛世)’란 괜한 말이 아니었던 것이다. |
‘조선서예사 大綱’ 으로서의 어필 | ||
최초간행 ‘열성어필’ 석각본은 1662년(현종3년) 문종에서 효종까지 구묘(九廟) 어필이고 그 이후 태조를 포함하여 현종 숙종 경종의 어필이 추가되었다. 목판본은 선조 인조 효종 현종 등 사묘(四廟)어필이 숙종 때 처음 간행된 후 숙종·경종이 추가되었다. 이러한 어필이 대를 이어 간행되는 이유는 선왕의 유지를 받들기 위함인데 영조는 자신의 어필을 간행하면서 ‘지금 내가 문(文)과 필(筆)에 대해 이렇게 열심인 것은 어찌 나를 위함이겠는가? 그 뜻은 선왕(先王)을 거듭 이어감에 있다. 문필이 이와 같은데 하물며 정치에 있어서야!’라고 하였다. 한편 어필은 어진(御眞)과 마찬가지로 극도로 존모(尊慕)의 대상이었다. 정조는 임란당시 함경도 관찰사 송언신에게 보낸 선조의 비밀편지를 보고 ‘한점 한 획의 기미에 성인(聖人)의 심법(心法)이 있다’고 할 정도다. 어필의 외부유출 또한 있을 수가 없다. 1642년(인조 20년) 일본에서 통신사를 통해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의 원당(願堂)에 게시할 ‘日光淨界 彰孝道場’(일광정계 창효도량)의 어필을 요청하였는데 의창군 이광이 대필하였던 것이 단적인 예이다. 어필은 국사(國事) 관련 자손과 신하에게 내린 명령이나 가르침인 ‘교시(敎示)’ ‘훈유(訓諭)’ ‘편지’는 물론 ‘현판’ ‘시고’ ‘제발’ 등 본격적인 서예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어필은 민간에서는 ‘어서각(御書閣)’을 세워 봉안하였지만, 역으로 왕실에서 관직 ‘상(賞)’ 하사품을 조건으로 진헌(進獻)을 통해 수집하기도 했다. 그런데 그 부조리는 1667년 홍모씨가 박미 소장 장인(선조)의 묵죽병풍을 모사품 바꿔치기 수법으로 훔쳐 바쳤다가 발각되는 바람에 하사품을 회수당하고 심문을 받는 일까지 있을 정도로 심각하였다. 조선시대 어필의 서풍은 크게 초기 중기 후기 등 세 시기에 걸쳐 바뀌었다. 모든 어필이 기준 아닌 것이 없었지만 각 시기 대표 어필을 굳이 꼽는다면 문종·선조·정조를 각각 들 수 있다. 그 이유는 조선글씨의 토대가 된 조맹부의 송설체가 문종을 통해 씨가 뿌려졌다면 선조는 그것을 가장 조선적인 글씨로 재해석하여 우리의 미감으로 녹여서 것으로 만들었고, 정조는 서체반정(書體反正)을 통해 다시금 흐트러진 서풍을 초기와 중기의 순정(純正)함으로 되돌렸기 때문이다 |
출처 : 해외유학,교환교수,출장자보험
글쓴이 : AIG 원글보기
메모 :
'문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서예가 열전](13) 조선중기 -석봉 한호(下) (0) | 2009.07.16 |
---|---|
[스크랩] [서예가 열전](12) 조선 중기 - 석봉 한호 上 (0) | 2009.07.16 |
[스크랩] [서예가 열전](10) 조선 중기 - 고산 황기로 (0) | 2009.07.16 |
[스크랩] [서예가 열전]② 통일신라 - 최치원 (0) | 2009.07.16 |
[스크랩] [서예가 열전](22) 조선 후기-추사 김정희(下) (0) | 2009.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