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가 열전](12) 조선 중기 - 석봉 한호 上 | ||||||
이유는 여타 사극에서 글씨는 배경이지만 조선풍류의 주인공이 문인·묵객·가객들이고, 이 중 최고수만 상대했던 그녀 또한 이 분야 최고였기 때문이다. 서화담의 농막, 지족선사의 암자, 벽계수의 만월대, 소세양과의 동방 풍류 장면의 글씨가 그래서 더 궁금해진다. 그러면 동시대 송도 선비들의 놀음놀이는 어떤 것일까. # 두 말 먹의 붓을 휘두르는 풍류 1604년 10월, 송도 인근 수안군수가 된 허균이 서울에서 못 다한 회포를 풀고자 석봉(石峯) 한호(韓濩:1543~1605)에게 초청편지를 보냈다. 이때는 마침 말년의 석봉이 흡곡현령을 그만두고 송도 우봉촌사에서 쉴 때다. 글의 요지는 ‘고을관아에서 명주 베 펼쳐 놓고 두어 말(斗)쯤 먹을 갈아서 흥이 나는 대로 붓을 휘두르자’는 것이다. 해를 넘겨도 석봉이 오지 않자 허균은 1605년 4월 편지에서 수수술, 잉어회, 죽순나물, 자라탕 등을 장만할 것을 약속하고 수레까지 보내 만남이 성사된다. 둘은 충천각(沖天閣)에서 시를 읊으며 술과 필묵으로 두 달간 왕희지 부럽지 않은 즐거움을 만끽하였다. 여기서 석봉은 금니(金泥) ‘반야심경’과 허균의 누이 난설헌이 여덟 살 때 신선세계를 읊은 ‘광한전백옥루상량문’을 쓴다. 결과적으로 이 작품은 석봉의 절필(絶筆)이 되었지만 불교와 도교를 넘나드는 허균과의 풍류 단면을 통해 사자관(寫字官)으로서 판박이 글씨만 쓴 석봉에 대한 기억을 수정하게 된다. 석봉은 사실 과묵한 성격에다 글씨에 대한 상찬과 비난에 초연하였고, 이백의 장쾌한 시풍과 장욱의 호방한 초서의 풍격을 심하게 좋아했다고 전한다. # 재주를 천히 보는 이 나라 습속 그러나 우리에게 비쳐진 석봉은 떡장수 어머니와의 일화, 천자문, 사자관, 선조의 지극한 사랑으로 인해 교과서적으로만 인식되어온 감이 없지 않다. 더욱이 정법(正法)이 모든 글씨의 토대임에도 유독 석봉의 성취만은 사자관이라는 이유로 문인 사대부들의 부정적 평가의 빌미가 된 것은 억울한 감마저 든다. 이 중 석봉에 대한 선조의 사랑에서는 사헌부의 시기와 질투마저 간취된다.
# 목마른 말이 냇물로 달려가는 형세 이런 판단은 정유길·이이·이정구 등의 다섯 차례 주청과 원접 사행에 동참하면서 대명외교문서를 도맡아 썼던 석봉 글씨가 중국에서 더욱 유명했다는 사실에서도 확인된다.
# 이백에 빠진 시인 그러나 사자관 이상의 석봉 진면목은 당대 최고 문장가만을 상대한 그의 교유관계에서 짐작된다. 박순·고경명·최립·허균·차천로·이정귀·이안눌 등이 그들이다. 세상에서는 특히 최립의 문장, 차천로의 시, 석봉의 글씨를 송도삼절이라 하지만 석봉은 시작(詩作)도 뛰어났다. 그가 지은 ‘구룡연’ 일부를 보면 ‘봄날의 이슬 기운 연지(硯池) 위를 적시고/ 햇살과 안개 빛이 붓끝을 감아 돈다/황정경(黃庭經) 쓰는 사이 (신룡의) 도움 감지되니/산음 우객을 언젠가는 만나리’라고 하면서 석봉 글씨의 궁극적 이상을 산음 우객 왕희지에 두고 있다. 이에 대해 최립은 “사람들은 석봉의 글씨는 알지만 그의 시는 모른다. 석봉은 평생 이백 시를 애송하여 말하는 사이에도 술술 흘러나와 사람 심정에 들어맞는다. ‘구룡연’의 특출함은 말할 필요가 없지만 사람들이 글씨마저 흠을 잡는데 하물며 시에 대해서야!”고 말했다. 요컨대 석봉처럼 글씨 하나로 유사 이래 이렇게 출세한 인물도 없었지만, 글씨 때문에 이렇게 견제와 시기, 질투로 평가절하된 사람도 없을 것이다. |
천자문의 한국化 ‘한석봉 천자문’
전통적으로 한자 교재는 ‘삼백천(三百千)’, 즉 ‘삼자경(三字經)’ ‘백가성(百家姓)’ ‘천자문(千字文)’이 있다. 이 중 주흥사(470?~521)의 ‘천자문’이 가장 유명하다. 천자문은 ‘天地玄黃(천지현황)’에서 시작하여 ‘焉哉乎也(언재호야)’로 끝나는 1,000자 250구 125절의 방대한 4언고체 서사시다. 여기에는 동아시아 문사철의 주요 테마인 역사·천문·지리·인물은 물론 윤리·도덕·처세 등의 덕목들이 망라되어 있다. 따라서 천자문은 어린이의 문자 습득을 위한 교재, 수신을 위한 윤리 교재, 역사·철학 교재 등 종합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천자문’의 한반도 전래 시기는 삼국시대로 추측된다. 백제시대에 ‘천자문’ 1권과 ‘논어’ 10권을 일본에 전했다는 ‘고사기’ 기록이 이를 입증한다. 현존자료로 볼 때 우리나라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준 것은 수나라 지영선사와 원나라 조맹부가 쓴 ‘진초천자문’, 당나라 회소가 쓴 ‘초천자문’이다. 조선시대 들어서는 왕실은 물론 사대부나 민간에 이르기까지 초학자는 모두 ‘천자문’을 학습하였다.
조선시대 ‘천자문’ 필적을 남긴 문인으로는 이용·박팽년·이황·김인후·한호·신위·이삼만·조윤형·정약용 등을 꼽을 수 있다. 이 중 가장 널리 보급된 천자문은 석봉 한호가 선조의 어명으로 1583년(선조 16년)에 쓴 소위 ‘한석봉천자문’이다. 이 책은 해서와 대자서, 초서 등 세 종류가 있는데 1601년 처음 간행된 이후 1650년, 1691년, 1814년 등 여러번 중간되었다. 1800년대 이후에는 방각본까지 출간되면서 조선 글씨의 기준으로 학습되었다.
간인본은 중앙관서본·지방관서본·사찰본·사가본·방각본 등으로 구분되는데, 인쇄문화 발달은 물론 국어 변천역사를 밝히는 측면에서도 중요한 기준이 된다. 특히 우리나라 ‘천자문’은 한자와 함께 우리말 새김과 자음이 실려 있어 한글 교육도 동시에 수행했음을 알 수 있는데, 그 기준이 된 것이 바로 1583년 ‘한석봉천자문’이다. 이 책은 원간본이 나온 후 중앙과 지방에서 번각되면서 한글석음의 시대별 차이는 물론 지역 방언까지도 나타나고 있어 한글변천 과정도 알 수 있게 한다.
한편 ‘천자문’은 조선시대에 가장 널리 학습되면서 중국과 다른 조선의 주체적인 시각과 비판적 해석이 반영되어 다양한 형태로 변용되어 만들어졌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을 들면 ‘아학편(兒學編)’ ‘동사천자(東史千字)’ ‘종문천자(宗門千字)’ ‘역사천자(歷史千字)’ ‘류합(類合)’ ‘대동천자문(大東千字文)’ ‘삼천자(三千字)’ 등이 있다. 요컨대 천자문 한 권을 통해 한자와 한글 학습은 물론 인쇄문화와 서예, 한자의 구성원리, 한글 변천 과정, 전통교육제도, 일제시대 민족교육, 천자문의 조선화 과정까지도 알 수 있는 것이다.
'문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서예가 열전](14) 조선중기 -미수 허목 (0) | 2009.07.16 |
---|---|
[스크랩] [서예가 열전](13) 조선중기 -석봉 한호(下) (0) | 2009.07.16 |
[스크랩] [서예가 열전](11) 조선중기-선조 (0) | 2009.07.16 |
[스크랩] [서예가 열전](10) 조선 중기 - 고산 황기로 (0) | 2009.07.16 |
[스크랩] [서예가 열전]② 통일신라 - 최치원 (0) | 2009.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