ㆍ퇴계 제자로 ‘화합과 조정’의 명수
서애 유성룡(柳成龍:1542~1607)은 선조 40년인 1607년 5월6일 66세를 일기로 눈을 감았다. 그래서 지난해인 2007년은 서애가 세상을 떠난 400주년으로 대대적인 기념과 추모행사가 열렸었다. 1542년인 중종 37년 10월1일, 서애는 외가인 당시의 의성현 사촌리에서 태어났다. 본래의 고향은 당시는 풍산현, 지금은 안동시 풍산면 서쪽에 자리한 하외라는 마을이었다. 이제는 ‘하회(河回)’로 바뀌어 세상에서 유명한 곳이 바로 서애의 고향이었다. 굽이굽이 흐르는 낙동강, 그 강이 돌면서 만들어진 마을이 서애의 고향이어서 강물이 돌아가는 하회(河回)가 되었고, 마을에서 강 건너 서쪽 절벽의 경치가 너무 아름다워, 그곳을 사랑했던 이유로 서애(西厓)라는 호를 자호로 삼았다.
|
안동시 풍산면 수동리에 있는 서애의 묘소. 사진작가 황헌만 |
그는 황해도 관찰사를 역임한 아버지 유중영(柳仲?)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형님 겸암 유운룡(謙唵 柳雲龍)도 문과에 급제하여 서애보다는 벼슬이 낮았으나 학문과 덕행으로 서애에 버금가는 이름 높은 학자이자 관인(官人)이었다. 우선 태어나기를 좋은 집안에서 유복하게 태어나 어려서부터 부족한 것 없이 넉넉하게 공부하고 연구하는 일에 정성을 바칠 수 있었다.
학자로서의 소양을 제대로 갖추려면 스승을 잘 만나야 한다. 풍산현의 이웃고을인 예안(禮安:지금의 안동)현에 당대의 학자 퇴계 이황 선생이 도산(陶山)에서 강도(講道)하고 있던 때였다. 서애는 가정에서 학문을 익혀 어느 정도의 수준에 이른 21세에 퇴계의 문하로 들어가 본격적인 도학(道學) 공부에 몰두하였다. 기록에 의하면 퇴계에게서 직접 ‘근사록(近思錄)’ 등의 성리학을 배우고 몇 달을 도산에 머무르면서 깊고 넓게 도(道)를 얻어들었다고 한다.
23세에는 생원시와 진사시에 각각 1등과 3등으로 합격하여 세상에 이름을 날리며 태학(성균관)에 들어가 본격적으로 학문을 닦고 과거공부에도 열중하였다. 25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이 열렸고, 29세에 퇴계가 세상을 떠나자 제자의 예를 다하며 장례를 치르기도 했다. 벼슬은 오르고 올라 47세에는 대제학으로 나라의 문권(文權)을 쥐었고 49세에는 우의정이라는 신하로서는 최고의 지위인 정승에 올랐다. 51세인 1592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풍원부원군(豊原府院君)에 봉해지고 영의정으로 국난에 임하는 임금 다음의 최고의 사령관 임무를 충실하게 수행하였다.
|
하회마을의 서애 유성룡 종택인 충효당 전경. 사진작가 황헌만 |
퇴계의 제자로 익힌 학문을 후학들에게 전수했으니 정경세(鄭經世), 이준(李埈) 등 당대의 학자들이 서애의 문하에서 배출되었다. 그래서 서애는 뛰어난 정치지도자이자 퇴계의 학맥을 이은 학자로서도 큰 명망을 얻었다. 서애가 세상을 떠나자 고족(高足)인 우복(愚伏) 정경세는 판서와 대제학을 지낸 수준 높은 학자로서 스승인 서애의 행장(行狀)을 지었다. 서애의 일생을 상세하게 정리하는 작업이었다. “우리 스승은 재능으로는 온갖 실무를 처리하기에 넉넉하였고, 학문으로도 세상을 다스려 백성들을 구제하기에 넉넉하였다”(才足以應務 學足以致用)라는 결론을 내렸다. 실무처리능력과 학문역량을 함께 지녔던 서애의 인품을 제대로 기술한 내용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화합과 조정의 정치지도자
지도자는 조화를 이루고 조정할 능력이 있어야 한다. 극단적인 대립이 벌어지고 각을 세운 논쟁이 치열할 때에 거중조정을 통하여 실마리의 얽힘을 풀어서 화합의 분위기로 이끌 수 있어야 한다. 이점에서 서애는 모두가 인정했던 당대의 정치지도자였다. 화합과 조정의 명수가 서애였음을 알게 해주는 유명한 일화가 있다.
31세에 서애는 옥당벼슬이라는 명예로운 홍문관의 수찬(修撰)으로 재직하였다. 이 무렵 어느 날, 임금이 경연(經筵)에 나와 여러 신하들과 대화를 나누었다. “내가 어떤 수준의 임금인가?”라고 묻자, 정이주(鄭以周)라는 신하가 먼저 답했다. “전하는 요순과 같은 임금입니다”라고 답했다. 서애와 쌍벽으로 퇴계의 제자로 이름 높던 학봉 김성일(金誠一)도 그 자리에 있었다. 학봉은 곧고 바른말 잘하기로 세상에 명성이 높던 분이다. 학봉이, “전하는 요순과 같은 임금도 될 수 있지만 걸주(桀紂:세상에 포악한 임금의 대명사)와 같은 임금도 될 수 있습니다”라고 답하였다. 그러는 순간 임금의 얼굴에 극도의 분노가 보이며 좌중이 전율하는 분위기에 휩싸였다.
|
서애의 서원인 병산서원이 자리잡은 터. 사진작가 황헌만 |
그런 위기의 순간에 서애는 뛰어난 기지와 조정의 능력으로 위기를 극복했다. 서애가 아뢰기를 “정이주가 말한 바의 요순과 같은 임금이란 임금님을 그런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의미이고, 김성일이 말한 걸주 같은 임금도 될 수 있다는 것은 걸주 같은 임금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경계의 말이니, 두 사람 모두 임금님을 사랑하는 뜻에서 나온 말입니다”라고 능숙하게 답변하자, 임금이 그때에야 기뻐하며 얼굴빛을 바꾸고 술상을 가져오라 명하여 즐겁게 지내다 파하였다는 이야기다. 그런 위기의 순간에 서애가 아니었다면 김성일의 처지가 어떻게 되었을까를 생각하면 서애의 말솜씨가 대단했다는 것을 짐작하게 된다.
지도자는 인재를 천거할 줄 알아야
서애의 인물됨이야 조선 500년의 역사에서 그래도 가장 많이 세상에 알려진 사람의 한 분이다. 그는 영의정이라는 국가의 최고지도자의 한 사람으로 임진왜란이라는 전대미문의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여 구국의 정치지도자라는 호칭에 걸맞게 행동한 인물이다. 그러나 서애라고 약점은 없고 장점만 있는 인물은 아니다. 율곡 이이는 후배인 서애에 대하여, “서애는 재주나 식견이 높아 임금께 올려 바치는 건의를 잘하였다. 더욱 경연에서 아뢰는 내용은 모두가 잘한다는 칭찬을 받았다. 그러나 때로는 일관된 마음으로 봉직하지 못하고 이롭고 해로운 점만 따지려는 부분이 있어 식자들이 단점으로 여기기도 했다”라는 평을 하였고, 문장·학문·청빈 등 모든 것이 다 좋으나 어떤 경우 골경(굳세고 곧은 성품)의 풍모가 부족한 점을 남들이 한스럽게 여겼다는 평가도 있었다. 화합과 조정의 능력에 온화한 성품이 뛰어나 강하고 굳세지 못한 성격을 탓하는 경우도 있었다는 평가였다. [IMG4] 이러한 단점이 있으면서도 서애가 지도자로서 우뚝 서있었고 무거운 성망을 잃지 않았던 데에는 그가 인재를 제대로 천거하고 능력을 알아보아 발탁하는 뛰어난 지감(知鑑)을 지녔다는 점이다. 임진왜란의 비참한 패망에서 승리의 두 장군을 들자면 충장공 권율(忠壯公 權慄)과 충무공 이순신이다. 바로 이 두 위대한 애국자이자 뛰어난 전략가들 때문에 나라가 중흥될 수 있었으니, 그 두 사람을 천거한 서애야말로 임진왜란으로 패망해버린 조선이라는 나라를 중흥시킨 주인공이었다.
본디 서애는 인재발탁에 대한 높은 정치철학을 지닌 분이었다. 그의 유명한 논문이자 국가에 바친 정책건의서인 ‘청광취인재계(請廣取人才啓)’라는 글에 서애의 뜻이 담겨있다. 널리 인재를 발탁하기를 청하는 건의서인데, 1594년 53세의 서애가 전쟁이 한창이던 난리통에 임금에게 바친 건의서는 지금 우리가 읽어도 바르기만 한 주장이다. 아무리 천한 사람, 아무리 신분이 낮은 사람도 약간의 재주만 있다면 무조건 등용시켜 활용토록 해야 한다고 했다. 단점은 묻어두고 장점만 취해야 하고 신분이나 문벌로 인재를 고르는 악습에서 벗어나기를 간절히 바랐다.
그래서 인재발굴의 10대 원칙을 열거했으니 병법(兵法)에 밝은 사람, 학식이 있고 시무(時務)를 아는 사람, 담이 크고 언변이 뛰어난 사람, 집안에서 효제(孝悌)에 뛰어난 사람, 문장에 뛰어나 사신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사람, 용감하고 활 잘 쏘는 사람, 농사일에 밝고 농업기술이 있는 사람, 염업·광산업·무역업에 밝은 사람, 수학과 회계에 밝은 사람, 병기를 잘 만드는 사람 등 열 가지 종류의 인물들은 신분이나 가문을 따지지 말고 조건 없이 발탁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권율 장군과 이순신 장군이 발탁되지 못했다면 그때의 조선은 어떻게 되었겠는가.
삼한(三恨)을 지녔던 서애
66세에 생을 마친 서애, 그 당시로는 천수를 제대로 누린 나이다. 대제학에 이조판서, 형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에 올라 모든 복을 다 받았지만, 임진왜란이라는 모진 전쟁에 온갖 시달림을 받았고, 당파싸움의 격화로 반대파의 혹독한 비판을 받았던 서애, 그는 노년에 자신에게는 세 가지의 한(恨)이 있노라는 술회의 기록을 했다. 첫째는 임금과 어버이의 은혜를 보답하지 못했다. 둘째, 벼슬은 지나치게 높았는데 일찍 벼슬에서 물러나지 못했다. 셋째, 망령스럽게 도(道)를 배우겠다는 뜻을 두었으나 이룩한 것이 없다. 바로 그 세 가지가 자신의 한(恨)으로 여겼다니 얼마나 겸허하고 공손한 삶의 자세였는가.
서애의 어머니 안동 김씨는 남편을 잃고도 매우 오랫동안 살았다. 유운룡·유성룡 두 형제의 지극한 효도로 온갖 영화를 누리고 살았다는 기록이 있는데, 서애는 효도로 부모의 은혜를 갚지 못한 것을 후회하고 있다. 뛰어난 효심의 발로다. 임진왜란에 그만한 공업을 이루었건만, 일찍 벼슬에서 물러나지 못했음을 후회하는 마음도 얼마나 훌륭한 정신인가. 퇴계의 학통을 이은 도학자로 많은 제자들에게 도를 전해준 학자였지만, 도학에 뜻을 두고도 이룬 바가 없다는 그의 겸손함이 바로 그와 같은 큰 정치지도자로 대접받게 했던 것이 아닐까. 못된 일은 다 하고도 자기만 잘 했다고 떠드는 오늘의 지도자들에게 서애의 ‘삼한’은 많은 반성의 자료가 될 것이다.
〈 박석무 | 한국고전번역원 원장·성균관대 석좌초빙교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