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신라 김씨왕족은 흉노(匈奴)의 후손 출처;http://www.kbs.co.kr/radio/scr/main.html 제1회: 2부작 [문무왕릉비의 비밀] - 제1편: 신라 김씨왕족은 흉노(匈奴)의 후손인가? 방송일: 20081122 예고편 : 동영상 : highSpeedVod(1556800); [제1회] 2부작 [문무왕릉비의 비밀] 제1편: 신라 김씨왕족은 흉노(匈奴)의 후손인가? ▣방송 : 2008. 11. 22 (토) 20:10~21:00 (KBS 1TV) ▣진.. 카테고리 없음 2009.05.31
[스크랩] 중국 5대 미인? / 미인 맞습니까? 중국 5대 미인 서시(西施) - "침어(沈魚)" 『 서시의 미모에 물고기가 헤엄치는 것조차 잊은 채 물밑으로 가라앉았다.』 춘추 전국 시대의 "서시"는 춘추 말기의 월나라의 여인이다. 어느 날 그녀는 강변에 있었는데 말고 투명한 강물이 그녀의 아름다운 모습을 비추었다. 수중의 물고기가 수영하는 것을.. 카테고리 없음 2009.05.31
김해김씨 가락국기 고려高麗 문종조文宗朝 대강大康 연간年間에 김관지주사金官知州事 문인文人이 지은 것이니 그 대략을 여기에 싣는다. 천지(天地)가 처음 열린 이후로 이곳에는 아직 나라 이름이 없었다. 그리고 또 군신(君臣)의 칭호도 없었다. 이럴 때에 아도간(我刀干)·여도간(汝刀干)·피도간(彼刀干)·오도간(.. 카테고리 없음 2009.05.31
[스크랩] 가락국기,김해김씨 필독 고려高麗 문종조文宗朝 대강大康 연간年間에 김관지주사金官知州事 문인文人이 지은 것이니 그 대략을 여기에 싣는다. 천지(天地)가 처음 열린 이후로 이곳에는 아직 나라 이름이 없었다. 그리고 또 군신(君臣)의 칭호도 없었다. 이럴 때에 아도간(我刀干)·여도간(汝刀干)·피도간(彼刀干)·오도간(.. 카테고리 없음 2009.05.31
[스크랩] 추사 김정희 삶과 예술 -유홍준 교수가 말하는 '추사 김정희 삶과 예술' "추사체는 누구나 알고 있지만 추사체가 뭐냐 하면 대답을 잘해낼 수 있는 사람이 없다. 어쩌면 추사체는 우리들이 쓰고 있는 글씨들이라고 해도 될지 모른다. 그의 대표적인 글씨 '잔서완석루(殘書頑石樓)'를 보자. '다 떨어진 책과 무뚝뚝한 돌이 있는 .. 역사자료실 2009.05.31
[스크랩] 지두산수도 사용자 PC에 해를 끼칠 수 있는 스크립트를 차단했습니다. 원본 글을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지두산수도 (指頭山水圖) 李寅文(1745∼after 1824), 朝鮮 18世紀 末∼19世紀 初, 종이. 水墨淡彩, 58.0×38.4 Landscape Painting with Finger Nails / Yi In-mun(1745∼after 1824) / Choson dynasty, late 18th∼early 19th century / Ink and light.. 카테고리 없음 2009.05.29
[스크랩] 고전 명서화 고전명화작가 : 안견(安堅) 아호 : 현동자(玄洞子)·주경(朱耕). 제목 :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부분 언제 : 15세기 재료 : 두루마리 비단에 담채 규격 : 38.7 x 106.5cm 소장 : 일본 텐리대학 중앙도서관 해설 : 이 몽유도원도는 안평대군(安平大君)이 박팽년(朴彭年)과 함께 도원(桃園)을 몽유(夢遊)한 후 안견.. 카테고리 없음 2009.05.29
[스크랩] 영상칼럼 `Netizen Photo News` `09. 5. 30. 토` ● 한국 네티즌본부 카페연합 공동작성 게시물. '09. 5. 30. 토' 추천: '아름다운 시와 사진,그림 이야기 듣기 ★ 좋은 그림을 오래 바라보는 사람은 행복하다 ★ '한국 네티즌본부'카페연합 공동작성 게시물 ----- 오늘의 추천시 img from: hani.co.kr ←◀ ★*… 시작도 마지막도 바보, 그 바보와 사랑했네 시.. 카테고리 없음 2009.05.29
[스크랩] 국보 135호 혜원풍속도 조선 후기의 화가인 혜원 신윤복(1758∼?)이 그린 <단오풍정>, <월하정인> 등 연작 풍속화 30여 점이 들어 있는 화첩으로 가로 28㎝, 세로 35㎝이다. 아버지 신한평의 뒤를 이어 한때 도화서의 화원이기도 하였던 신윤복은 참신한 색채가 돋보이는 산수화 작품을 남기기도 하였지만, 특히 풍속화.. 카테고리 없음 2009.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