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자료실

[스크랩] 「한국의 역사 인물」41.조선 최고의 사상가. 성리학의 대부 퇴계(退溪) 이황(李滉)

회기로 2010. 1. 26. 19:56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퇴계(退溪) 이황(李滉)은 학자이자 교육자이며 뛰어난 정치인이었던 인물이다. 또한 조선 중기의 유학자인 이언적(李彦迪)의 주리설(主理說)을 계승하여 주자(朱子)의 철학을 독창적인 조선 성리학으로 발전시킨 선도자이기도 하다. 퇴계 이전의 성리학은 조선의 통치 이념으로 채택되어 면면히 이어져 오기는 했지만 주자의 이론을 맹목적으로 추종하는 것에 불과했다. 그랬던 것이 퇴계를 통해 학문의 기본 정신에 충실하면서도 독보적인 이론 체계를 형성하고 발전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조선의 철학 사상은 퇴계로부터 비롯되어 분화되어 발전한 것이기 때문에 그의 영향을 무시하고는 아무 것도 생각할 수 없다.

퇴계에 의하여 이(理)와 기(氣)의 상호관계가 설명되었으며, 단순히 당위적인 가치로만 인식되어 왔던 성리학의 기본 이념에 대해 심도 있는 고찰이 시작되었다. 그는 넓게는 동양 철학사에서, 좁게는 조선 성리학 발전사에서 일대 전환을 이룬 사람으로서 특히 성리학을 인성론(人性論)에 적용시켜 독창적인 이론을 전개하였으며, 이로부터 조선 정신철학의 내재적 가치가 증폭되었다.

퇴계가 창조한 인간형은 평이하고 일반적인 유형이었지만 시대가 요구하는 바람직한 모습이었다. 다시 말해, 통치 질서에 부합되는 인간 모형을 이끌어 냈기 때문에 당시의 보수적인 체제를 유지하는데 사상적으로 큰 역할을 담당했다고 볼 수 있으며, 본질적 가치에 충실한 이념적 인간을 선호하였다고 할 수 있다.

퇴계는 인간의 순수이성이 절대선이며 여기에 따르는 것을 최고의 덕으로 보았는데, 스스로도 그러한 삶의 모습에 충실하려고 노력했다. 또한 70 평생을 지행합일(知行合一)의 자세로 일관한 그는 "글을 배우는 것은 마음을 바르게 하기 위한 것이다." 라고 하였다. 퇴계는 학문하는 도리를 인간 본성의 회복에 두었으며, 그것을 실제 생활에서 실천하는 것을 중요시하였다.

퇴계는 주자 성리학의 뜻을 충실히 따르면서도 그것을 통해 인간성을 고찰하는 독창적인 도덕적 실천 철학을 구축했다. 이러한 퇴계의 사상은 그 후 영남학파에 의해 계속해서 이어졌다. 일본에서까지 학문의 스승으로 추앙받아 그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었을 정도로 위대한 유학자였지만, 평생 동안 자신을 잘 드러내지 않고 타인의 생각과 의견 속에서 진리를 구하고 수용하려는 자세를 가졌던 대기만성형 학자의 전형이다.

◆ 온유한 성품을 타고난 사람

퇴계(退溪) 이황(李滉)은 1501년, 경북 예안군에서 좌찬성 이식(李埴)의 막내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그가 태어난 지 7개월만에 마흔살의 젊은 나이로 사망하여, 퇴계는 서른두살이었던 홀어머니 밑에서 자라야 했다.

당시는 연산군(燕山君)의 폭정으로 세상이 혼란스러웠기 때문에, 여자 혼자 어린 자식들을 데리고 살아가야 했던 어머니의 고생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자식들에게 온갖 정성을 다하면서도 엄격했던 어머니는 항상 이렇게 말했다.

"세상 사람들은 과부의 자식들은 배운 것이 없다고 비난하는 법이니, 너희들은 남들보다 몇배 더 노력하여 공부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러한 비난을 면할 수 없다."

어머니의 가르침에 따라 퇴계와 그의 형제들은 모두 열심히 학업에 정진하여 나름대로 성공할 수 있었다. 퇴계는 어려서부터 공손하고 온유했으며, 항상 옷차림을 단정히 하였다. 그리고 타고난 천성이 너무나 맑고 깨끗하여 도무지 어지러운 세상에 어울리지 못할 것처럼 보였다. 퇴계의 어머니는 가끔 그에게 말하기를 "나중에 관직에 나가더라도 너는 조그만 지방의 수령이라면 몰라도 중앙의 큰 직책은 맡지 말아라. 세상 사람들이 너와ㅣ 같은 성품을 용납하지 못할 것이 걱정된다." 고 말할 정도였다.

퇴계는 소학(小學)을 읽기 전부터 이미 몸가짐은 소학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것처럼 보였다고 한다. 어려서부터 도연명(陶淵明)의 시 세계를 좋아하였는데, 퇴계 자신의 심성이 원래 조용하고 깨끗해서 목가적인 전원시에 자연스럽게 이끌렸던 것 같다. 그러나 감수성이 예민하고 기가 약한 면도 있었다. 퇴계가 여덟살 때의 일이다. 손위 형이 손을 베어 피를 흘리자, 그는 형을 껴안고 다친 형보다 더 크게 울었다. 이 모습을 본 어머니가 "다친 형은 울지 않는데 네가 왜 우느냐?" 하고 물었다. 퇴계는 계속 눈물을 흘리면서 "형이 울지는 않고 있지만 저렇게 피가 나는데 얼마나 아프겠습니까?" 하고 대답했다. 이렇듯 퇴계의 어질고 착하면서도 유약하고 소심한 성격은 천성적인 것이었다.

퇴계는 열두살 때부터 숙부인 송재(松齋) 이우(李?)에게서 학문을 배웠다. 송재는 그때 관직에 있었는데, 바쁜 와중에도 성심을 다하여 어린 퇴계 형제를 가르쳤던 훌륭한 스승이었다. 송재는 똑똑하고 영민한 조카들을 친아들처럼 아꼈는데, 특히 어린 퇴계를 가장 사랑했다. 이런 숙부 밑에서 논어(論語)를 배우던 퇴계가 어느 날 문득 '이(理)'라는 글자의 의미를 물었다. 숙부가 곧바로 답을 주지 않자 혼자 한참을 궁리하던 퇴계는 "일의 옳은 것이 '이'입니까?" 하고 되물었다. 숙부는 어린 조카의 이해력에 감탄하며 칭찬해 마지않았다. 어려서부터 깊이 사색하고 스스로 깨우치는 천재성을 보였던 퇴계는 아버지가 물려준 책들을 홀로 공부하며 학문에 정진했다.

◆ 사임과 복직을 반복한 관직 생활

퇴계는 열아홉살 때 성리대전(性理大全)을 읽고 성리학의 진수를 접했다. 그리고 유학을 제대로 공부하기 위해서는 주역(周易) 연구가 필수적이라고 생각하여, 스무살 때는 주역을 공부하느라 거의 침식을 잃을 정도였다고 한다. 퇴계는 이 시기의 지나친 학문 탐구로 건강을 해쳐서 평생토록 소화 기능이 좋지 않아 고생하기도 했다.

스물한살 때에는 문관(文官) 출신인 허찬(許讚)의 외동딸과 결혼한 후, 스물세살부터 성균관(成均館)에서 공부했다. 당시는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있은 후라서 젊은 유생들은 허탈감에 젖어 진지하게 공부하는 사람이 없었다. 그는 이때 심학(心學)의 대표 서적인 심경(心經)과 심경부주(心經附註)를 탐독했는데, 이 책은 상당히 난해하여 해독하기조차 어려웠지만 퇴계는 깊은 사색을 통해 스스로 그 뜻을 깨우쳤다.

이 심경은 그 후 퇴계 철학의 근원이 된다. 퇴계는 말년에도 심경을 읽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했고, 후배들에게 철학적 사색의 길잡이로서 항상 심경을 권했다. 또 66세 때에는 심경후론(心經後論)을 지음으로써 평생에 걸친 심경 연구를 마무리하기도 했다. 따라서 퇴계의 사상을 이해하려면 심경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렇게 학문에 정진하던 퇴계였지만 과거(科擧)에는 영 인연이 없었던지 스물네살 때에는 연이어 세번이나 불합격했다. 그러다가 스물일곱살인 1527년에야 경상도 향시(鄕試)에 수석 합격하고, 이듬해 봄에는 한성 진사 회시(會試)에도 합격했으나 방이 나붙기도 전에 고향으로 돌아와 버렸다.

과거에 처음 합격하던 해에 첫번째 부인과 사별한 퇴계는 서른살에 권질(權瓆)의 딸과 혼인했지만, 그때까지도 백면서생으로 학문에만 몰두하고 있었다. 그러나 과거시험에 나가 보라는 주위의 권고가 계속되자, 서른두살에 다시 과거에 응시하여 문과 초시(初試)에 합격하였다. 이듬해 또 다시 경상도 향시에 장원급제한 퇴계는 서른네살 되던 해 3월에야 문과에 최종 합격하여 외교문서를 담당하는 승문원 부정자로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그 이듬해에는 왜구 포로의 호송관으로 차출되었는데, 임무를 수행하는 동안 倭 人들의 요구나 불평에 대해 알게 되었다. 이때의 경험으로 퇴계는 일본의 실태와 일본인들의 성향 등을 깊이 파악하여 일본에 대한 대응책을 남다르게 강구할 수 있었다.

서른여섯살 때는 호조좌랑을 지내다가 그 이듬해 어머니 박씨가 세상을 뜨자 사직하고 귀향하였다. 모친의 3년상을 마친 후 서른아홉살에 홍문관 지제교로 다시 복직하여 여러 관직을 역임하다가 마흔두살때에는 어사로서 충청도와 강원도를 순찰하기도 했다. 그 해에 사헌부 장령을 거쳐 이듬해에는 성균관 대사성에 임명되었지만, 건강상의 이유로 사직하고 다시 귀향했다가 반년도 채 지나지 않아 부름을 받고 관직에 다시 올라왔다. 그 사이에 중종(中宗)과 인종(仁宗)이 잇달아 죽어서 나이 어린 명종(明宗)이 왕위에 올랐다.

1545년에는 퇴계에게 가정적으로 불행한 일이 많이 있었는데, 그 하나는 부인 권씨가 사망한 것이다. 첫번째 부인 허씨와 사별하고 두번째로 만난 권씨마저 세상을 떠나고 말았으니, 퇴계는 처복이 없었던 셈이다. 다만, 첫번째 부인 허씨는 부잣집 외동딸로 꽤 많은 재산을 남겨주어 그에게는 경제적으로 큰 뒷받침이 되었다. 부인 권씨가 죽은 해에 일어난 을사사화(乙巳士禍)에서는 바로 손위 형인 이해(李該)가 희생되기도 하여 퇴계로서는 참혹스러운 한 해였다. 이렇게 연이어 고통스러운 일들을 겪고 나자, 그렇지 않아도 벼슬길이 탐탁하지 않았던 퇴계는 그 해 11월에 다시 사직하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퇴계가 사직하기 얼마 전에 대마도주(對馬島主)가 일본에 통신사를 파견해 줄 것을 요청했었다. 그러나 당시 조정은 외교문서의 구절을 문제 삼아 이를 거절해 버렸다. 이때 퇴계만 유일하게 온건책을 건의하였는데, 이를 통해 그의 통찰력이 얼마나 뛰어났었는지를 알 수 있다.

"북방에서 여진족의 침입이 염려되는 때에 남쪽의 일본을 자극하다가는 남과 북 양쪽에서 외침을 당하는 국가의 불행이 예상된다. 따라서 倭 人들이 함부로 도전하지 못하도록 단속은 하되, 한편으로는 달래서 남쪽에 대한 걱정을 줄일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퇴계의 판단은 호송관으로 있을 당시, 일본의 움직임을 예의 주시한 결과 얻게 된 것으로서, 정말 탁월한 선견지명이라 아니 할 수 없다. 그러나 당시의 조선 조정은 권력 다툼에만 정신이 팔려 "있지도 않은 일을 떠들어 공연히 민심만 어지럽힌다." 며 오히려 그를 헐뜯기까지 했다.

고향으로 돌아온 퇴계는 근처 시냇가에 양진암을 짓고 그곳에 머무르며 독서에 전념했다. 1년여 동안 그곳에서 학문연구에만 정진하던 그에게 1548년 다시 조정의 부름이 있어 단양군수와 풍기군수를 역임하게 되었다. 그러다가 이듬해 12월에 병을 얻어 또 다시 사직하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단양군수 시절에는 둘째 아들이 세상을 떠나서 그에게 슬픔을 더해 주었지만, 기생 두향과의 애틋한 사랑의 일화를 남기기도 했다.

풍기군수 시절에는 조선 역사상 중요한 의미를 갖는 일을 하게 된다.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에 대한 나라의 지원을 요청하여 전답과 서적을 지급받아 교육기관으로 육성시켰던 것으로, 이것이 전례가 되어 각 지방에 서원이 만들어졌다. 이는 조선 교육행정에 있어서 선구자적 역할을 수행한 것임에 틀림없다. 서원은 비록 조선 말기에 가서는 폐단이 생기기도 했지만, 제 기능을 충실히 하던 시기에는 사대부 여론의 중심이자 지방 교육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조선 후반기에는 서원의 교육 기능이 강화되어 중앙보다 지방의 학문 수준이 더 높은 문화적 역전(逆轉) 현상이 벌어지기도 했다.

◆ 본격적인 저술 활동

고향에 돌아온 퇴계는 다시 한서암(寒棲庵)이라는 공부방을 짓고, 독서와 사색의 생활에 들어갔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주자전서(朱子全書) 연구에 몰두했는데, 말년의 철학적 사색은 이 책을 근간으로 하였으며, 그의 심오한 사상적 깊이도 여기서 더욱 힘을 얻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53세 때에 천명도설후서(天命圖說後敍)를 썼고, 56세에는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를 편저하였으며, 57세에는 주자가 지은 역학계몽(易學啓蒙)에 대한 해설서 격인 계몽전의(啓蒙傳疑)를 저술하고, 59세에는 송계원명이학통록(宋季元明理學通錄)이라는 주자 연구의 결정판을 세상에 내놓았다.

2년여 동안 연구에만 몰두하며 한적한 생활을 하다가, 다시 조정의 부름을 받은 것은 1552년으로 그의 나이 52세의 일이었다. 퇴계는 사헌부 집의로 복직한 후 여러 관직을 역임하다가 4년 후인 1556년에는 건강상의 이유로 또 다시 사직하였다. 그 후 한동안 고향에 칩거하며 작품 저술과 학문 연구에 정진하다가 사직한 지 2년만에 성균관 대사성으로 임명되어 관직에 다시 나왔다.

퇴계가 사임과 복귀를 여러번 반복했던 것은 건강상의 이유도 있었지만, 그를 필요로 하는 조정의 요청에 성격사으단호하게 거절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대사성에 임명된지 2개월 후 공조참판이 되었으나, 관직에 큰 뜻이 없던 그는 또 다시 사임하고 만다.

59세가 된 퇴계는 어지럼증을 많이 느꼈고, 특히 안질에 시달렸다. 본래 체질이 약하고 병도 많았지만, 관지을 떠나 있을 때에도 편히 쉬기보다는 계속 공부에만 매달려 있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왕성한 저작 활동으로 도산기(度産記), 정암선생행장(靜巖先生行狀), 심무체용변(心無體用辯), 심경후론(心經後論) 등을 저술하였다.

그 후 퇴계는 7년여 동안 관직에 나가지 않았다. 그러자 군왕의 부름이 여러차례 계속되자 어쩔 수 없이 1566년에 66세의 나이로 공조판서에 임명되어 다시 출사했다. 명종(明宗)은 퇴계가 계속해서 관직을 사양하자 "어진 이를 부르나 오지 않음을 탄식한다."는 제목으로 유생들에게 글을 짓게 하기도 했다. 그리고 은밀히 화공(畵工)을 보내 퇴계가 은거하고 있는 곳의 풍경을 그려 오게 해서, 당시의 명필인 송인(宋寅)을 시켜 퇴계가 지은 도산기(度産記)와 도산잡영(度産鄕樂)을 그 위에 쓰게 했다. 그러고는 그것으로 병풍을 만들어 방에 두고 쳐다보면서 퇴계를 그리워했다고 전한다.

퇴계는 재출사한 그 이듬해 예조판서를 거쳐 1568년에는 의정부 우찬성을 역임하였다. 그리고 그 다음 해 예문관 대제학을 마지막으로 관직 생활을 완전히 청산하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사임하기 전에 퇴계는 어린 임금의 치도에 도움을 주기 위해 무진육조소(戊辰六條疏)와 성학십도(聖學十道)를 지어 바치기도 했다.

일반적으로 퇴계가 학문에만 몰두하여 운둔생활을 영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는 여러차례 사직과 복귀를 반복하면서도 40년 가까이 관직에 머무르며 네 임금을 섬겼다. 마지막으로 퇴임할 때에는 이율곡(李栗谷)까지도 만류하였으나, 벼슬보다는 자연과 학문이 더 그리웠던 퇴계는 결국 고향으로 돌아갔다. 당시 왕위에 오른 선조(宣祖)는 나이가 어렸기 때문에 조정에서는 퇴계와 같은 중후한 대신이 남아 있어 주기를 원했다. 그렇지만 그는 그때가 물러날 시기임을 알았던 것이다. 나중에는 관직에 나오지 않더라도 한성에 머물면서 자문이라도 해 줄 것을 요청받았으나, 이것마저 모두 사양하고 낙향했다.

낙향한 다음 해 11월, 종가 제사에 참석한 퇴계는 그 후 감기에 걸려서 내내 고생하다가 다음달 8일에 일어나 앉은 자세로 홀연히 숨을 거두니, 그의 나이 70세의 겨울이었다. 마치 자신의 죽음을 예견하기라도 한듯 죽기 나흘 전에 자신의 묘지 앞에 세울 비문의 내용을 손수 지어서 남겼으며, 죽던 날 아침에는 서재에 있는 매화나무에 물을 주라는 말을 남겼다고 한다.

◆ 겸양하며 원칙에 충실한 성품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성품은 앞서 언급한 대로 온유하고 겸손했으며 마음이 약한 일면이 있었다. 사람을 만날 때에는 아무리 나이가 어리다고 해도 '너'라고 부르는 법이 없이 예를 다하였다. 제자가 대단치 않은 질문을 해도 찬찬히 생각하여 성의껏 대답해 주었고, 다른 사람의 말에 찬성할 수 없을 때에도 다짜고짜 틀렸다고 반박하기보다는 차근차근 자신의 의견을 말하면서 동의를 구했다.

이렇듯 퇴계는 평생을 겸허한 자세로 일관하며, 자만하지 않도록 항상 스스로를 경계하였다. 또 막히지 않고 밝은 것을 좋아하는 성미라서 집 근처의 수목도 항상 잘 다듬어 그늘이 져서 앞이 가리지 않도록 하였다. 도 그는 검소한 생활 태도를 유지했는데, 평상시에는 부들로 만든 자리에서 삼베옷을 입고 살았다고 한다. 퇴계가 거처하며 제자를 가르쳤던 완락재는 사방이 모두 3미터도 안 되는 협소한 곳으로, 당시 영천군수 허시가 그곳을 찾았다가 좁고 허름한 모습에 걱정하며 탄식하기도 했다.

처가 쪽이 부유하여 끊임없이 경제적 도움을 주려고 했지만, 퇴계는 한사코 사양하며 받으려 하지 않았다. 그는 대궐에 출입할 때도 수레를 사용하지 않고 말을 타고 다녔다. 한번은 김이정이라는 사람이 그에게 노새를 선물한 것이 있었는데, 퇴계는 부모가 살아계신 사람에게서는 그런 것을 받을 수 없다고 거절하며 사람을 사귐에 있어서는 물질보다 마음으로 통하면 된다고 말했다.

지방 관리로 있던 있던 장남 준이 나이 든 아버지의 생활에 불편함을 덜어 드리려고 일용품을 실어 보내자, 퇴계는 정당치 못한 방법으로 얻은 물건이 아닌가 하여 못마땅하다는 뜻의 편지를 보내기도 했다. 그 편지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적혀 있었다.

'선비에게 빈궁함은 예사로운 일이 아니니 마음에 둘 필요가 없다.'

또한 약삭빠른 처신을 경계하여 세상사 규범은 고지식할 정도로 철저하게 지키는 것이 당연한 도리라도 여겼다. 도산서당 앞 낙천에 살고 있는 은어를 보호하기 위해 관청에서 고기 잡는 것을 금하자, 아예 그 근처를 지나다니지도 않았다. 그리고 관청에서 부역령이 내려지면 누구보다 앞장서서 나갔다.

퇴계는 적극성과 추진력이 부족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국가 대사에 있어서는 강한 신념을 주장한 일면도 있다. 예를 들면, 마흔두살 때 어사로 충청도를 순찰하고서는 탐관오리를 엄하게 다스려 숙청할 것을 건의하였다. 그리고 68세 때에는 군왕에게 기묘사화의 치죄가 잘못되었음을 역설하였는데, 조광조를 모함했던 남곤과 심정 등이 이미 죽고 난 후였지만, 그들의 관직을 박탈케 하는 강인한 면모를 보여 주기도 하였다.

또한 항상 왜구에 대해 근심하고 그에 대한 대책을 세울 것을 강조하여, 장차 일본에 의해서 일어날 나라의 환난을 미리 예견하는 선견지명을 보였다. 붕당의 폐단에 대해서도 그것이 본격화되기 전에 이미 여러차례 경고하기도 했다.

퇴계는 평생 동안 자기의 잘못을 고치는 일에 인색하지 않았으며, 독서와 사색으로 일관하였다. 서재의 벽에는 오로지 학문 연구에만 매진하려는 자신의 마음을 담은 다음과 같은 글을 붙여놓고 자신을 채찍질하였다.

'번거로움을 구하는 데는 고요함만한 것이 없고, 성김을 구하는데는 부지런함만한 것이 없다.'

◆ 퇴계의 철학과 사상

퇴계는 우주 현상을 형이상은 '이(理)'와 형이하인 '기(氣)'의 상호의존 관계로 설명하는 주자 철학을 계승하였다. 그에 따르면 '이'는 '기'를 움직이게 하는 근본 법칙이고, '기'는 '이'에 따라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존재라는 것이다. 또한 모든 만물은 '이'와 '기'로 이원화되어 있으면서, 양자 모두가 사물을 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이 그의 핵심 사상이다. 즉, '기'도 발하고 '이'도 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발하는 것은 오로지 '기'뿐이고 '이'는 '기'의 부수적인 존재라는 이율곡(李栗谷)의 생각과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할 수 있다.

퇴계는 '사단(四端)'이란 '이'가 발하여 '기'가 따르는 것으로 순수한 선이고, '칠정(七情)'이란 '기'가 발하여 '이'가 드러나는 것으로 선과 악이 혼재해 있는 것으로 보았다. 사단은 맹자(孟子)가 실천 덕목의 근간으로 삼은 측은지심(惻隱之心)·수오지심(羞惡之心)·사양지심(辭讓之心)·사비지심(是非之心)을 말하고, 칠정은 예기(禮記)와 중용(中庸)에 나오는 희(喜), 노(怒), 애(哀), 구(懼), 애(愛), 오(惡), 욕(慾)을 말한다. 즉, 인성에 있어서 본연의 성(性)인 사단과 ?誰?(氣質)의 성인 칠정이 서로 다르므로, 사단이 칠정을 이끌어 가면 도덕적 행동이 되지만 칠정이 앞서면 부도덕하게 된다고 보았다. 따라서 사람은 사단이 마음의 중심이 되도록 수양해야 도덕군자가 될 수 있다고 믿었다. '인심(人心)'의 수양을 통해 '도심(道心)'을 구현하는 것이 인생의 궁극적인 목적이라는 것이다.

결국 퇴계는 인간의 존재와 본질의 문제를 행동적인 면에서보다 이념적은 측면에서 추구하였으며, 인간의 순수이성은 절대선이므로 이에 따르는 것이 최고의 덕이라고 생각하였다. 그의 이러한 '이선기후(理先氣後)' '이귀기천(理貴氣賤)' 사상은 기대승(奇大升)과 8년에 걸쳐 논쟁을 펼친 '사칠변론(四七辯論)'의 서막이 된다. 기대승은 '이'와 '기'는 관념적으로 구분할 수는 있지만, 구체적인 마음의 작용이 들어가면 구분할 수 있다는 '이기공발설(理氣共發說)'을 주장하여 퇴계의 이론에 반대했다.

퇴계의 철학은 "진리는 평범하고 명백한 일상에 있다."라는 신념에 기초한다. 그래서 그가 상정한 인간형도 평범하고 말이 없는, 다수가 동의할 수 있는 평이한 인간상이었다. 또 이치를 탐구하고 실천하는데 있어서 공경(恭敬) 하나로 일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경하는 마음만 있으면 모든 이치가 결국에는 밝게 드러날 것이고, 심상(心象)도 안정되어 모든 일의 처리가 걸리는 것이 없다고 설파하였다. 즉, '경(敬)'은 곧 '심(心)'을 주재하는 정신으로 천리(天理)와 인간의 본연성이 '경'을 통하여 하나가 될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중심 생각이었다.

이러한 퇴계의 '천인합일(天人合一)' 이론은 우주의 변화를 인간의 마음에 연관시켜 고찰하던 조선 철학의 정신적 지주가 되었다. 결국 퇴계의 인생과 학문의 궁극적인 근거는 '공경'에 있었고, 그는 평생을 이 '공경'의 가치를 실천하며 살아갔던 것이다.


참고서적

김형광 '인물로 보는 조선사' 시아출판사 2002년
송은명 '인물로 보는 고려사' 시아출판사 2003년
김용만 '인물로 보는 고구려사' 창해 2001년
황원갑 '민족사를 바꾼 무인들' 인디북 2004년
이덕일 '고구려 700년의 수수께기' 대산출판사 2000년
이덕일 '살아있는 한국사' 휴머니스트 2003년
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백제왕조실록' 들녘 2000년
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들녘 2000년
김기홍 '천년의 왕국 신라' 창작과비평사 2000년
박선식 '한민족 대외 정벌기' 청년정신 2000년
이도학 '백제 장군 흑치상지 평전' 주류성 1996년
송기호 '발해를 찾아서' 솔출판사 1993년
윤병식 '의병항쟁과 항일 독립전쟁'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년
한시준 '임시정부 활동과 의열투쟁의 전개' 단국대학교 출판부 1998년
장세윤 '한국 독립운동사 연구' 솔출판사 2001년

{이상}

출처 : 한국사의 영웅과 열사들!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