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인화

[스크랩] [서예가 열전](21) 조선 후기- 추사 김정희(上)

회기로 2009. 7. 16. 17:43
[서예가 열전](21) 조선 후기- 추사 김정희(上)
입력: 2006년 12월 15일 15:45:50
얼마 전 추사 작품 조사차 어느 소장가 댁을 방문했다. 초면이지만 환대를 받았다. 수차의 시도 끝에 겨우 승낙을 얻어내는 여느 때와는 분명 딴 판이다. 이미 병풍과 액자가 어두컴컴한 거실에 대기되어 있었다. 울룩불룩한 필획이 당장이라도 병풍 속에서 뛰쳐나올 것 같았다. 소파에 앉기도 전에 이미 소장 내력이며 근 30년도 전에 전문가의 감정이야기, 어마어마한 구입가격 등을 기다렸다는 듯이 자세하게 일러주었다. 모든 정황으로 보아 틀림이 없음도 강조했다. 그런데 어느 기관에서는 ‘아니다’라는 판정을 내렸다고 흥분했다. 이야기를 듣고 보니 필자를 정의의 사도쯤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 같았다.

작품 감식에 금강저(金剛杵)와 같은 안목과 혹리(酷吏:세금을 걷는 가혹한 벼슬아치)의 손을 요구한 추사 같으면 그 자리에서 답을 냈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지도 못한 필자는 아무 말도 안하는 액자를 자꾸 곁눈질하며 물러나왔다. 기실 병풍이 아니면 액자가 거짓말을 하고 있었다.

# 추사체(秋史體)는 카멜레온이다.

사정은 다르지만 추사 김정희(1786~1856)의 작품을 두고 벌어지는 이런 일은 비일비재하다. 추사만 나오면 따라다니는 문제가 작품이 진짜냐 가짜냐 하는 것이다. 그래서 인사동에서는 남들이 다 아니라고 한 것을 주워(?) 횡재를 하기도 하고, 반대로 수업료로 집을 날린 이야기가 무용담처럼 사람들 입에 오르내린다.

그러면 왜 추사작품이 이렇게 어려운가. 필자 생각으로는 실제 가짜도 가짜지만 추사의 작품 제작 태도가 워낙 변화무쌍한 데에서 진위를 오판하는 측면도 크다고 본다. 결국 알고 보면 둘 다 진짜인데 하나는 진짜고, 하나는 아니라고 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추사의 학예인생의 화두를 말한 것이자 여러 절품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간송미술관 소장 ‘유애도서겸고기(唯愛圖書兼古器:오직 도서를 사랑하되 옛 기물도 아우르며) 차종문자입보리(此從文字入菩提: 또 문자를 가지고 큰 깨달음에 든다)’만 해도 필자가 조사한 바로는 네 종이 전한다. 서로 다른 종류의 예서작품이 있는가 하면 해·행서가 있다. 그것도 쓴 시기가 다르다. 게다가 보통 작가들한테 이런 작품제작 예는 아주 드물게 발견된다. 그리고 경험상 이런 동일 글귀 작품이 일괄로 한자리에서 공개되지 않는다. 즉 몇 십 년을 두고 서로 다르게 우연히 발견되니 기준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그래서 신통력이 아니라 작품의 전모를 보지 않고 추사를 말하는 것보다 더 무모한 일이 없는 것이다.

추사 김정희(金正喜, 1786~1856)의 대련글씨 ‘대팽두부과갱채 고회부처아녀손’(大烹豆腐瓜薑菜 高會夫妻兒女孫). 왼쪽 작품(각 31.9×129.5㎝)은 간송미술관 소장품이며 오른쪽(각 56.5×36.5㎝)은 개인 소장품으로 8폭병풍 가운데 일부이다. 내용은 ‘좋은 반찬은 부부 오이 생강나물, 훌륭한 모임은 부부와 아들딸 손자’라는 뜻이다.
추사의 변화는 이것뿐만 아니다. 초년글씨와 말년글씨는 완전히 딴사람이다. 변화무쌍하기로는 초년도 말년과 마찬가지다. 요컨대 ‘변화’가 추사체의 기저라 할 만하다. 예컨대 추사가 24세 연행(燕行) 이후 4년 만에 쓴 ‘계당서첩’은 아직 금석기가 드러나지 않는 해서와 행서작품이지만 옹방강은 물론 미불과 동기창이 있고, 안진경과 왕희지가 동시에 소화되면서 이미 일가를 이루고 있다. 이후 40대, 50대, 60대 글씨풍이 다 다르니 그 현란함은 더 말 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동일 시기 작품 또한 서체에 따라 다르다. 같은 서체라도 정색을 하고 쓰기도 하고, 감정을 있는 대로 담아내기도 한다. 어떻게 이렇게 다를 수도 있을까 눈을 의심케 한다. 그러니 누구든지 추사 앞에서 헤매지 않을 수 있겠는가.

# 정법(正法)의 자기부정(自己否定)으로서 기괴(奇怪)와 고졸(古拙)

그러나 추사체는 마구 변화만 즐기는 것은 아니다. 관조해보면 일관된 변화 원칙이 있다. 시기별로 보면 추사체는 어느 누구도 범접할 수 없는 엄격한 정법을 토대로 하고 있다. 연행 이후 부터 30대에 옹방강을 통해 정법을 익혔다면 40대에는 바로 옹방강의 토대가 된 구양순법을 체득하면서 정법의 극점에 도달한 것이다. 서예사에서 ‘당법(唐法)’이라 함은 바로 해서의 전형을 두고 한 말인데 그중에서 구법(歐法)을 최고로 쳐왔다. 해배 이후 과천시절에 무르녹아난 추사체의 기괴(奇怪) 고졸(古拙)함의 미학은 첩·비가 혼융되면서 바로 정법의 자기해체나 파괴의 결과물인 것이다.

# 리듬에서 구조로, 추사체의 현대성

그리고 조형 그 자체로 보면 엄격한 음양 원리가 작동하고 있다. 글자의 점획이나 짜임새, 글자간의 배치를 문제 삼는 장법 등에서 서로 다른 극단적인 대비 속에서도 전체적으로는 조화를 이끌어내는 것이 추사 공간경영의 제1차적인 특질인 것이다.

김정희의 ‘계산무진’(谿山無盡), 165.5×62.5㎝, 간송미술관 소장. 계산(谿山) 김수근(1789~1854)에게 써 준 것이다.
그중에서도 추사체는 이광사나 이삼만 등 기존의 첩학파들의 트레이드마크인 초서의 리듬보다 건축적인 공간구성에서 단연 독보적이다. 물론 그 토대는 전서나 서한예서의 구축적 글꼴과 금석기의 획질이 해서나 행초에 녹아나온 결과다. 이런 의미에서 한국현대조각의 아버지라 할 김종영 같은 작가의 작품이 추사체에서 나왔다는 작가의 고백은 지극히 의외이면서도 너무나 당연한 것이다.

그러면 이러한 정법의 자기부정으로써 고졸함과 구축적인 공간구조로써 추사체의 정신적 경계는 무엇인가. 추사의 작품으로 보면 과천시절에 만들어진 ‘불이선란도’나 ‘판전’과 같은 경지다. 과천시절 추사체는 불이선란도 제시(題詩)에서 ‘성중천(性中天)’이 ‘불이선(不二禪)’과 하나 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모두가 유·불·선 회통의 고도의 이념미(理念美)를 필묵으로 노래하고 있다. 하지만 자세히 보면 추사는 지금까지 우리가 알고 있듯 아무도 범접 못하는 관념에만 매몰되어 있지 않다. 늘 성속(聖俗)을 넘나들며 고도의 관념미마저도 추사는 지극히 일상적인 소재를 가지고 필묵 하나로 시 서 화에 담아내고 있다. 요컨대 선(禪)이 일상 속에 내려와 들어차 있는 것이 추사인 것이다.

〈이동국|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학예사〉

 

한국성에 세계성까지… 18~19세기 최고 書聖
입력: 2006년 12월 15일 15:46:06
 
추사는 18~19세기 동아시아 서예사의 최고 작가라고 말한다. ‘입고(入古)’와 ‘출신(出新)’ 기준으로 볼 때 추사야말로 모든 비·첩 서예고전을 가장 완벽하게 혼융하여 재해석해낸 인물이기 때문이다. 한자(漢字)가 한반도에 전래된 이래 한·중 서예 역사는 이념형을 대체로 같이한다. 즉 시대·작가·서체 측면에서 왕희지 재해석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이유는 한자가 전서에서 예서로 변천되었고, 이것이 왕희지를 통해 해서와 행·초의 전형으로 확립되면서 서체변천 역사는 사실상 종지부를 찍었기 때문이다. 요컨대 진대 이후 당·송·원·명에 이르기까지는 왕희지 재해석의 역사였는데 이 경향은 우리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기원 전후 한자가 전래되고, 삼국시대의 한예와 위진남북조시대 해서의 재해석풍이 유행한 이래 통일신라 김생, 고려 탄연, 조선의 이용, 한호 등에 의한 왕희지 복고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조선 후기와 청대에 들어와서 서예 이념형(理念型)을 왕희지, 즉 진당고법 이전의 은·주·진 등의 전서와 한예에서 찾아냄으로써 이전과는 다른 서예역사가 전개되었는데 이것이 비파계열의 글씨혁명이다. 작가로 보면 기존 첩파계열에 조선에서 윤순·이광사·이삼만·신위 등이, 청에서는 유용·옹방강·완원·포세신 등이 있었다면 비파계열로는 김수증·이한진·유한지 등이 전자이고, 정섭·등석여·이병수·조지겸·오창석 등이 후자다.

그러나 추사체의 경우 기존의 첩파나 비파로 구분하기 어렵다. 추사체의 형성 과정을 보면 초기 가학(家學)이나 사승관계를 통해 습용된 조선전래 글씨나 미불, 동기창 등 조선후기 유행서체, 옹방강은 물론 구양순·저수량·안진경이나 그 이전의 진대고법의 재해석에서 보듯이 연행 이후 20대 중후반과 30, 40대까지 첩학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더욱이 전형의 자기부정이나 파괴로서의 추사체의 큰 특질 하나는 이런 정법의 첩학이 전제되지 않으면 성립하기 어렵다는 사실이다. 특히 추사체의 완성기의 특질을 보면 운필과 용묵에 있어 방원(方圓:둥글고 모가 남)과 윤갈(潤渴:기름지고 마름)의 혼융, 점획에 있어 태세(太細:굵고 가늘기) 정단(長短) 측도(測度:기울기)의 대비, 결구에 있어 비정형(非正形) 구조, 장법에 있어 글자 대소대비, 서체에 있어 비학과 첩학의 각체가 혼융되어 있다. 그런데 추사체는 여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정반대의 이질적이고 극단적인 조형 요소를 한 화면에서 조화롭게 만들어낸다는 데 가치가 있다. 요컨대 추사학예의 결정체로서의 추사체는 시기적으로 제주 유배에서 풀려난 이후 강상(江上:서울 용산)과 북청시절을 거쳐 과천에서 완성을 보았고, 서예사적 맥락에서는 우리나라와 중국의 역대 서예사의 지류나 큰 강줄기를 하나로 모은 바다인 것이다.

 

 

출처 : 해외유학,교환교수,출장자보험
글쓴이 : AIG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