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서예가 열전](14) 조선중기 -미수 허목 [서예가 열전](14) 조선중기 -미수 허목 -전서 대가로 ‘타이포그라피史’의 선구자- 허목, ‘광풍제월(光風霽月)’, 안동 의성김씨 운장각 소장. 얼마 전 2008년도 베이징올림픽 픽토그램이 공개되었다. 종목별 다이내믹한 동세를 순간 포착했는데, 전서(篆書)의 획 하나로 사물의 본질을 사진보다 .. 문인화 2009.07.16
[스크랩] [서예가 열전](13) 조선중기 -석봉 한호(下) [서예가 열전](13) 조선중기 -석봉 한호(下) 그림1_ 한호(韓濩, 1543~1605), ‘구인당(求仁堂)’, 경북 옥산서원 소재. 작년 초 ‘光化門(광화문)’ 편액교체 건으로 논란이 있었다. 다행히 문화재청이 편액을 복원키로 하고, 그 기준을 고종이 경복궁을 중건할 당시 훈련대장 임태영 필적의 ‘光化門’ 유.. 문인화 2009.07.16
[스크랩] [서예가 열전](12) 조선 중기 - 석봉 한호 上 [서예가 열전](12) 조선 중기 - 석봉 한호 上 허난설헌이 짓고 성봉 한호(1543~1605)가 쓴 ‘광한전백옥루상량문’(廣寒殿白玉褸上樑文). 1605년. 판본. 28.6×19.8cm 요즘 문화의 복고현상이 뚜렷하다. 그 중 하나는 고대사까지 영역을 넓히는 사극이다. 역사를 통해 정체성을 찾겠다는 것은 좋지만 사극의 인.. 문인화 2009.07.16
[스크랩] [서예가 열전](11) 조선중기-선조 [서예가 열전](11) 조선중기-선조 2003년도 겨울, 어느 서예전문잡지에 난 ‘조선왕조어필’ 전시 평을 우선보자. 필자는 보통사람도 아닌 잘나가는 서예가이자 이 잡지의 편집주간이기까지 한데 ‘어필은 글씨자체로 보자면 초등학교 수준이고 예술이라기보다는 필기용 글씨수준인데 우리나라 최고.. 문인화 2009.07.16
[스크랩] [서예가 열전](10) 조선 중기 - 고산 황기로 [서예가 열전](10) 조선 중기 - 고산 황기로 그림1.‘敬次’ 지본묵서 26×110cm 개인소장. ‘경차’(공경히 시를 짓다)는 매학정에 은거하고 있는 황고산에게 어떤 스님이 찾아와 보여준 시축을 거듭 반복하여 읽다 감흥이 일어 즉석에서 지은 칠언절구다. 2004년 여름 헤이야마 미술관에서 도쿄로 가는 .. 문인화 2009.07.16
[스크랩] [서예가 열전]② 통일신라 - 최치원 [서예가 열전]② 통일신라 - 최치원 # 유·불·도교 아우른 한국유학 선구자 용케도 장마를 피한 주말, 번개피서차 해운대를 갔다. 이곳은 해수욕장으로 명물이 된 지 오래지만 최근 APEC정상회담이 열린 ‘누리마루’로 명물 하나가 더 추가되어 있었다. 그런데 정작 수많은 발길들은 천 년 전 명물.. 문인화 2009.07.16
[스크랩] [서예가 열전](22) 조선 후기-추사 김정희(下) [서예가 열전](22) 조선 후기-추사 김정희(下) 입력: 2006년 12월 22일 16:51:26 김정희(金正喜, 1786~1856), ‘소원학공자’(所願學孔子), 종이에 먹, 26.0×155.0cm, 동산방 소장. ‘원하는 바는 공자를 배우고자 하는 것이다’라는 뜻이다. 요즘 서예가들의 글씨는 글 짓는 것과 별개다. 서예가들은 글 짓는 것보.. 문인화 2009.07.16
[스크랩] [서예가 열전](21) 조선 후기- 추사 김정희(上) [서예가 열전](21) 조선 후기- 추사 김정희(上) 입력: 2006년 12월 15일 15:45:50 얼마 전 추사 작품 조사차 어느 소장가 댁을 방문했다. 초면이지만 환대를 받았다. 수차의 시도 끝에 겨우 승낙을 얻어내는 여느 때와는 분명 딴 판이다. 이미 병풍과 액자가 어두컴컴한 거실에 대기되어 있었다. 울룩불룩한 .. 문인화 2009.07.16
[스크랩] [서예가 열전](20) 조선 후기- 창암 이삼만 [서예가 열전](20) 조선 후기- 창암 이삼만 입력: 2006년 12월 08일 15:50:33 -구름 가듯 물 흐르듯… 자연에서 得筆하다- 그림1. 이삼만(李三晩, 1770~1845?), ‘무이도가’(武夷棹歌), 종이에 먹, 67.3×31cm, 개인 소장. 주희(朱喜)의 ‘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를 서시(序詩)에서 제7곡(第七曲)까지 여덟 폭에 .. 문인화 2009.07.16
[스크랩] (19) 조선 후기 - 원교 이광사(下) [서예가 열전](19) 조선 후기 - 원교 이광사(下) -‘서결’ 통한 서예비평… 미학적 이상 제시- 이광사(1705~1777)의 ‘난저봉상 정약용등’, 비단·삼베에 먹, 개인소장. ‘난새가 날아오르고 봉황이 비상하며, 鼎이 뛰어오르고 용이 솟아오르듯하다’는 뜻이다. 당나라 한유의 ‘석고가’(石鼓歌)에 .. 문인화 2009.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