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경북 인물열전 (38) 정도전에게 살해당한 배열부전의 작자 이숭인(李崇仁) 경북 인물열전 (38) 정도전에게 살해당한 배열부전의 작자 이숭인(李崇仁) 경북 인물열전 (38) 정도전에게 살해당한 배.hwp [新增東國輿地勝覽 卷28. 慶尙道 星州牧 人物 條] 이 웅 재 이숭인(李崇仁:1349~1392)은 자를 자안(子安), 호를 도은(陶隱)이라 하고, 본관은 성주(星州)이다. 흔히 여말(麗末) 3은(三隱).. 전통자료 2010.01.24
[스크랩] 척약재집 (김구용) 척약재집 서문 予少也遊於牧隱先生之門。坐客有若圃隱鄭先生,惕若齋金先生,陶隱李先生者。視其容儀。聽其談論。▓其爲一代之人物也。 내 어렸을 적에 목은선생 문하에서 공부하였는데, 제자 중에는 포은 정(몽주)선생, 척약재 김(구용)선생, 도은 이(숭인)선생 같은 이가 있었다. .. 전통자료 2010.01.24
[스크랩] 이숭인 李崇仁(高麗) 이숭인 1349~1392 李崇仁(高麗) 이숭인 1349■1392 고려학자?시인 1349(충정왕 1) 경산부(京山府)~1392(태조 1). 고려 후기의 학자?시인.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자안(子安), 호는 도은(陶隱). 목은(牧隱) 이색, 포은(圃隱) 정몽주와 함께 고려말의 삼은(三隱)으로 일컬어진다. 아버지 원구(元具)와 .. 전통자료 2010.01.24
[스크랩] 노수신 노수신 盧守愼 1515(중종 10)~1590(선조 23).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영의정에 올랐으나, 정여립(鄭汝立)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 이황·기대승 등과 주자의 인심도심설 (人心道心說) 을 놓고 논쟁을 벌였다. 본관은 광주. 자는 과회(寡悔), 호는 소재(蘇齋)·이재(伊齋.. 전통자료 2010.01.24
[스크랩] 이이(이율곡) 이이 출생 1536년 강원도 강릉 사망 1584년 서울 대사동 자택 국적 조선 별명 호는 율곡, 자는 숙헌 학력 한성시 장원급제 직업 문인, 정치가 배우자 곡산 노씨 부모 이원수 / 신사임당 이이(李珥, 1536년 음력 12월 26일~1584년 음력 1월 16일)는 조선시대의 문신, 학자이며 정치가다. 본관은 덕수, 자는 숙헌(叔.. 전통자료 2010.01.24
[스크랩] 김육 觀史有感 관사유감 옛 역사를 보면 金堉 김육 1580~1658 古史不欲觀 고사부욕관 옛 역사는 보고 싶지가 않아 觀之每병淚 관지매병루 볼 때마다 눈물이 흐르는 걸 君子必困厄 군자필곤액 군자들은 반드시 곤액을 당하고 小人多得志 소인다득지 소인들은 득세한 자들이 많으니 垂成敗忽萌 수성패홀맹 성.. 전통자료 2010.01.24
[스크랩] 김창숙 선생 민족혼 100년만에 되새깁니다" 김창숙 선생 민족혼 100년만에 되새깁니다" 성주 대가면 청천서당서 '星明學校' 현판식 ▲7일 성주군 대가면 칠봉리 청천서당에서 독립운동가 김창숙 선생의 뜻을 기리는 '성명학교(星明學校)' 현판식이 열렸다. 박용우기자 "심산(心山) 김창숙 선생의 우국충정의 높은 뜻을 한 세기가 지난 지금에야 되.. 전통자료 2010.01.24
[스크랩] 『퇴계선생언행록』분석을 통해 본 급문제자의 수학 경향 『퇴계선생언행록』분석을 통해 본 급문제자의 수학 경향 저자명 김종석 /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퇴계학 제15집 (2005년) pp.1-34 1225-2212 발행처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발행년도 2005 국회도서관 목차 『퇴계선생언행록』분석을 통해 본 급문제자의 수학 경향 / 김종석 1 1. 서론 1 2. 언행록의 편찬 .. 전통자료 2010.01.24
[스크랩] 영남학맥의 흐름과 인물--안병걸 김용헌 영남학맥의 흐름과 인물 저자명 안병걸, 김용헌 /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퇴계학 제13집 (2002. 1) pp.107-233 1225-2212 발행처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발행년도 2002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목차 I. 신라 시대 유학 정착기의 영남 유학자=107 II. 고려시대의 영남 유학자=108 1. 고려 초·중기=108 2. 주자학 도입.. 전통자료 2010.01.24
[스크랩] 선산엔 예로부터 선비가 많아서 영남의 반을 차지한다 書黃著作璘榮親詩卷 佔畢齋 金宗直 一善古多士。號居嶺南半。三年論秀時。翹楚光里閈。雲衢展驥足。非惟一二筭。昌期屬百年。 耆舊漸彫散。黃子生最後。總角能操縵。寸陰肯虛擲。誦讀無留難。殷盤破詰屈。羲畫參繫彖。 經史已融會。儕輩爲嗟嘆。充.. 전통자료 2010.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