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서예가 열전]道統과 성리학의 조선화 [서예가 열전]道統과 성리학의 조선화 송시열 초상화 동아시아 인문주의 원형으로서의 공자(기원전 552~479)는 신(神) 중심의 중국문화를 인간중심으로 변화시킨 결정적인 인물이다. 공자 맹자 순자 등 유학자들의 가르침인 유교경전은 시대에 따라 여러 가지로 달리 해석된다. 즉 경학은 논어 맹자 시경.. 전통자료 2011.03.01
[스크랩] [서예가 열전](15) 조선중기 -우암 송시열·동춘당 송준길 [서예가 열전](15) 조선중기 -우암 송시열·동춘당 송준길 그림1. 송시열,‘주자명언(朱子名言)’, 십곡병풍 중 부분, 지본, 139×52cm, 성균관대박물관 소장. 주자 주희(朱熹)의 글로 ‘천지가 만물을 낳고 성인이 만사에 응하는 것은 오직 ‘일직’(一直)이란 글자일 뿐이다’(天地生萬物, 聖人應萬事, .. 전통자료 2011.03.01
[스크랩] [서예가 열전](14) 조선중기 -미수 허목 [서예가 열전](14) 조선중기 -미수 허목 허목, ‘광풍제월(光風霽月)’, 안동 의성김씨 운장각 소장. 허목, ‘증혜사운(贈慧師韻)’, 지본묵서, 31.9×57.9cm, 경남대박물관(데라우치문고) 소장. 김진흥(金振興, 1621~?), ‘전대학(篆大學)’, 판본 선장(線裝), 37.1×24.3cm, 예술의전당 서울서예박물관 소장. -.. 전통자료 2011.03.01
[스크랩] [서예가 열전](13) 조선중기 -석봉 한호(下) [서예가 열전](13) 조선중기 -석봉 한호(下) -> 그림1_ 한호(韓濩, 1543~1605), ‘구인당(求仁堂)’, 경북 옥산서원 소재. 작년 초 ‘光化門(광화문)’ 편액교체 건으로 논란이 있었다. 다행히 문화재청이 편액을 복원키로 하고, 그 기준을 고종이 경복궁을 중건할 당시 훈련대장 임태영 필적의 ‘光化門’ .. 전통자료 2011.03.01
[스크랩] [서예가 열전](12) 조선 중기 - 석봉 한호 上 [서예가 열전](12) 조선 중기 - 석봉 한호 上 허난설헌이 짓고 성봉 한호(1543~1605)가 쓴 ‘광한전백옥루상량문’(廣寒殿白玉褸上樑文). 1605년. 판본. 28.6×19.8cm 한호가 천자문을 초서로 쓴 ‘초천자’(草千字). 1597년. 판본. 24.3×19.5cm. 개인 소장. 한호가 쓴 당나라 고적(高適)의 시 ‘제야작’(除夜作)의 .. 전통자료 2011.03.01
[스크랩] [서예가 열전](11) 조선중기-선조 [서예가 열전](11) 조선중기-선조 그림1. 석봉천자문 초간본 첫장(오른쪽)과 마지막장 그림2. 선조(宣祖, 1552~1610), ‘오언절구’ 4수 중 첫 수, 197×67cm(8폭), 속리산 법주사 소장. ‘담장 가의 매화 한 가지가/추위를 능멸하고 홀로 피었구려/멀리서도 눈송이가 아님을 알겠으니/은은한 향기가 풍기기 때.. 전통자료 2011.03.01
[스크랩] [서예가 열전]‘조선서예사 大綱’ 으로서의 어필 [서예가 열전]‘조선서예사 大綱’ 으로서의 어필 그림3. 선조가 정숙옹주에게 보낸 국한문 혼용편지 어필(御筆)은 왕과 비의 글씨다. 왕이 승하하면 새 왕은 선왕의 존호(尊號)를 올리고 실록과 어제 어필을 간행하여 규장각의 봉보당에 봉안(奉安)한다. ‘열성어필첩’은 이러한 역대어필의 합본(合.. 전통자료 2011.03.01
[스크랩] [서예가 열전]조선중기, 퇴계·석봉體와 정반대 [서예가 열전]조선중기, 퇴계·석봉體와 정반대 그림2. 경남 함안 성산산성에서 출토된 삼국시대 목간들과 중국 한나라 때의 목간(맨 오른쪽). 조선 중기는 성리학이 조선화되는 것과 궤를 같이하여 초기 조맹부의 송설체를 토대로 도학자와 왕실 중심으로 왕희지 복고가 감행됨으로써 이전에 볼 수 없.. 전통자료 2011.03.01
[스크랩] [서예가 열전](10) 조선 중기 - 고산 황기로 [서예가 열전](10) 조선 중기 - 고산 황기로 그림1.‘敬次’ 지본묵서 26×110cm 개인소장. ‘경차’(공경히 시를 짓다)는 매학정에 은거하고 있는 황고산에게 어떤 스님이 찾아와 보여준 시축을 거듭 반복하여 읽다 감흥이 일어 즉석에서 지은 칠언절구다. 2004년 여름 헤이야마 미술관에서 도쿄로 가는 .. 전통자료 2011.03.01
[스크랩] [서예가 열전](8) 조선 초기- 안평대군(下) [서예가 열전](8) 조선 초기- 안평대군(下) 그림1_ 안평대군 이용(1418~1453), ‘집고첩발(集古帖跋)’ 1443년, 석각 첩장, 개인 소장 그림2_ 조맹부(1254~1322), ‘증도가(證道歌)’, 1316년, 석각 탑본, 예술의전당 서울서예박물관 소장 -신묘·전형美…조선시대 서체 門을 열다- 고서화의 진위 문제는 작품 가.. 전통자료 2011.03.01